[뉴스경북=대구시] 대구약령시 개장 357주년 '2015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 개최

  • 등록 2015.04.09 00:00:00
크게보기

‘대한민국 건강 1번지’약령시로 놀러 오이소!

 

대구약령시 개장 357주년‘2015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개최

4. 15.(수)~4. 19.(일)

 

 

대한민국 한의약의 전통과 역사를 대표하는 「2015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가 오는 4월 15일(수) 오후 2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4월 19(일)까지 5일간 『약령시에서 만나는 건강한 소풍 !』이라는 주제로 대구 중구 약전골목 일원에서 한의약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전시·체험·공연·경연 등 6개 분야 70여 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대구약령시는 조선 효종 9년(1658년) 왕명을 받은 경상감사 ‘임의백’의 지시로 한약재 시장으로 처음 개시(開市)되어 올해로 개장 357년째를 맞고 있으며, 한의약문화의 전승과 교육적 측면, 한약 및 한약재 거래 등 한의약산업적 측면, 그리고 근대골목과 연계된 관광적 측면에서 소중한 가치와 의의를 가지고 있다.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는 1978년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축제로 최초 개최 이후 매년 개최되어 금년 축제는 제38회 축제가 된다.

 

357년 대구약령시의 전통에서 비롯된 깊은 역사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그리고 시민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심에 자리 잡고 있다는 장소성의 이점 등이 결합한 결과,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전국 축제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둬 지난 2013년과 2014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문화관광 우수축제』로, 올해에도 『문화관광 유망축제』로 선정되어 한방문화의 진수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는 우리나라 대표 한방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번 축제는 기(氣)·흥(興)·정(情)을 바탕으로 한 “약령시에서 만나는 건강한 소풍”이라는 슬로건 아래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대구약령시의 부활과 한방상권 활성화를 목표로 젊은 층을 위한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대구약령시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를 발굴하여 교육적인 축제, 역사문화적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축제로의 발전을 꾀하였다.

 

□ 2015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만의 차별화된 프로그램 소개

 

우선, 지난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가 동의보감 발간 400주년을 기념하여 허준 선생이 동의보감을 완성한 후 왕(광해군)에게 바치는 의식을 화려한 의상과 150여 명의 대규모 출연진이 참여하여 재현한 『동의보감 진서의(東醫寶鑑 進書儀)』가 선보인다. 이 의식은 타대를 선두로 하여 약령시 주변의 대로를 가두행진한 후 약령시 한의약박물관 앞 메인무대에서 광해군 당시의 모습 그대로 재현한다.

 

※ 가두행진 경로: 현대백화점⇒매일신문사⇒만경관⇒중앙파출소⇒반월당⇒현대백화점 ⇒약령시 한의약박물관 앞 메인무대(60분정도 소요)

 

대구시 한의사회가 운영하는 『사상체질관 & 한방힐링센터』에서는 한의사들이 참여하여 무료로 시민들의 체질을 감별해 주고, 체질에 기인한 병에 대한 사상체질별 한방특화진료를 선보인다.

 

이 코너에서는 침․뜸 진료, 아토피·알레르기 등 소아․청소년 질환에 대한 진료, 척추관절 질환 진료, 중풍·우울증 진료, 피부미용 등 양한 한방진료를 체험할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시민들은 이 코너에서 대기하는 동안 경락 마사지도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

 

대구에서 개최되는 제7회 세계물포럼과 연계한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우선 2014년 큰 호응을 얻은 프로그램인 『약선요리 전시관』을 『약선요리 & 동의보감 33가지 물이야기 전시관』으로 확대하여 운영한다.

 

이 전시관에서는 체질별 약선음식 전시를 통해 생활 속의 한방건강ㆍ웰빙 요리 레시피들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동 전시관 내에 동의보감에 기록된 33가지의 물 종류를 기록한 『동의보감 33가지 물이야기』 전시코너 및 『한방 체질별 물의 종류와 마시는 법』 전시·체험 코너를 운영한다.

 

대구시는 이 외에도 물포럼이 개최되는 엑스코 전시관 내에 한방 대구의료관광 홍보부스를 설치운영하며, 물포럼 참가자들의 셔틀버스 투어코스에 대구약령시가 포함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축제 기간 동안 약령시 동편·서편 입구 등에 통역봉사자들을 배치한다.

 

약령시의 전통성에 부합하는 축제통용 엽전인 『약령통보(藥令通寶)』가 제작되어 사용된다. 약령통보는 1,000원당 엽전 1냥의 가치로 환전소에서 교환하여 축제장 전역에서 사용되어 방문객들에게 새로운 즐거움과 색다른 체험기회를 제공하며, 1만원(10냥) 환전 시 약령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건강과 행복을 바라는 의미에서 축제 관련 기념품이 지급된다.

 

이와 함께 축제 기간에는 한약재뿐만 아니라, 농․특산물, 한방제품, 먹을거리 등 다양한 양질의 제품이 시중가보다 10 ~ 20% 할인 판매되며, 약령시 골목의 각 한방제품 관련 상가에서도 구입 가격대별 축제 기념품을 증정한다.

 

축제 야간무대 프로그램으로 『약령 힐링콘서트』는 7080세대들을 위한 ‘퓨전국악(국악기와 클래식 악기의 만남)’ 공연과 젊은이들을 위한 ‘어쿠스틱밴드’ 공연으로 구분되어 공연된다.

 

『에코한방웰빙체험관』세미나실(2층)에서는 (사)한국피부미용사회 대구지회가 『한방 뷰티(얼굴마사지)&네일아트』코너를 운영하여 한방 관련 재료로 개인별 피부에 따른 한방 팩, 한방 마사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어린이들을 위한 네일아트 체험도 진행한다.

 

현대인들에게 웰빙 트렌드로 인기 있는 ‘걷기’ 프로그램도 축제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스탬프를 찍어라!』 프로그램은 약전골목 및 주변의 5곳을 방문하고 스탬프를 찍게 하여 대구의 한의약 전통과 근대골목의 역사성을 체험케 하는 프로그램이다.

 

한편, 주간의 『근대골목 투어』 외에도 문화관광해설사와 함께 청사초롱을 들고 3·1동길, 청라언덕의 대구의 아름다운 야경을 감상할 수 있는 『근대골목 달빛걷기 투어』도 열린다.

 

□ 축제장 곳곳에서 만나게 되는 오감만족 프로그램 구성

 

축제 메인무대에서는 다양한 문화공연과 시민참여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다양한 주제로 펼쳐지는 『약령 프린지 공연』과 『허준이 웃었다』공연, 현장경매를 통해 저렴하게 약초를 구매할 수 있는『한방 탐구생활 & 경매』행사가 진행된다.

 

매년 관람객들에게 인기가 좋은 『약초꽃 동산』과 『신비한 약령솔문』은 시민들의 시각과 후각을 자극하여 머리부터 발끝까지 건강한 즐거움을 선사하게 되며, 약전골목 동편 입구에는 밤에는 조명이 들어오는 『약령 구름물고기』 종이 등이 설치되어 야간 볼거리와 포토존을 제공한다.

 

또한, 전국의 한의학도들과 일반관람객이 참여하여 한의약 관련 실력을 겨루는 『2015 허준을 찾아라!』가 ‘도전 골든 벨’의 형식으로 진행되고, 약령시 내 한약업소 종사자와 한방 관련학과 학생들이 참여하여 한약재 썰기 실력을 겨루는 『전승기예 한마당』도 또 다른 장관을 연출한다. 그 외에도 대구약령시를 소재로 한 유치원생, 초등학생들의 그림그리기 대회인 『어린이 과거시험(그림)』 당선작품들도 전시된다.

 

이 외에도 축제장 곳곳에서는 『게릴라 홍보 & 버스킹 공연』, 거리극 『약전골목 사람들』 등 다양한 체험, 레크형 행사가 펼쳐지고, 성로의 젊은 층 유입과 어린 친구들을 동반한 가족을 위한 『한방 멋거리 마당』,『한방 체험마당』, 『약손 상상공작소』, 『건강기원 소원지탑』, 『길위의 한방 Art Market』가 운영된다.

 

그리고, 축제장 서편에서는 『먹거리 잔치마당』이 운영되어 관람객들에게 먹거리를 제공하고,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식단·비만자용 식단·아토피 식단 등 힐링 식단 3종 122개 메뉴가 전시되는 『힐링푸드식단전시관』에서는 조리식품 체험코너도 운영된다.

 

축제관련 홈페이지(http://www.herbfestival.org)를 방문하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대구시 김연창 경제부시장은 “올해 축제가 물포럼 기간과 연계 개최되어 전통 한의약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였으며, 올해에는 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축제장을 방문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메디시티 대구』의 뿌리라고도 할 수 있는 대구약령시가 한방산업을 선도하는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자료제공,의료산업과>

 

 

<전승기예경연대회 - 한약재 썰기>

 

<물의 이름>

 

종류

특성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제일 먼저 길은 물

성질이 순할 뿐 아니라 맛이 달고 독이 없어서 구역(입, 양눈, 양귀, 양코, 변 보는 두 곳을 합하여 아홉 구멍)으로부터의 출혈을 치료하고 입 냄새를 없애며, 안색을 곱게 하고 음주 후의 신열과 배탈을 다스린다.

한천수(寒泉水)

좋은 우물물

소갈증, 구역질, 열병과 이질, 임질 등을 다스리며, 산초나무 독을 풀어주고 생선가시가 걸린 것을 내려가게 한다.

국화수(菊花水)

국화로 덮인 못이나 수원지의 물

일명 국영수(菊英水)라고도 하는데, 이 물은 중풍으로 마비가 된 모, 어지러움증을 다스리며 풍기를 제거하고 몸의 쇠약함을 보하여 준다. 또한 안색을 좋게 하며 오래 마시면 수명이 길어지고 늙지 않는다.

납설수(臘雪水)

납일-동지 뒤 셋째 술일-에 오는 눈

유행성 감기나 폐렴, 급성 열병, 유행성 전염병과 음주 후의 신열, 황달을 다스리며 일체의 독을 풀어준다.

춘우수(春雨水)

봄빗물

정월 빗물은 부부가 각각 한 잔씩 마시고 합방하면 신효하게 잉태된다.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소갈증을 낫게 하고 몸을 가벼워지게 하며 배가 고프지 않게 한다. 또한 살빛을 윤택해지게 한다. 측백나무잎 위의 이슬은 눈을 밝아지게 한다. 백가지 꽃 위의 이슬은 얼굴빛을 좋아지게 한다.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

술 때문에 생긴 열, 술을 마신 뒤의 여러 가지 열, 얼굴이 벌겋게 되는 것, 상한으로 코가 메는 것[傷寒鼻塞] 등에 쓴다. 여름에 돋은 땀띠가 낫지 않고 벌겋게 진문 것은 진주조개 껍질가루를 겨울철에 내린 서리에 개서 붙이면 곧 낫는다.

박(雹)

우박

간장의 맛이 좋지 않아졌을 때 우박 1-2되를 받아서 장독에 넣으면 장맛이 전과 같이 된다.

하빙(夏氷)

여름철의 얼음

성질은 대단히 차고[大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번열이 나는 것을 없어지게 한다. 식보(食譜)에 “여름철에 얼음을 쓸 때에는 오직 얼음을 그릇 둘레에 놓아 두어 음식이 차지게 해야 한다. 그리고 얼음을 그냥 깨뜨려서 먹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먹을 때에는 잠깐 동안 시원하지만 오랫동안 있다가 병이 생기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방제수(方諸水)

조개껍질을 밝은 달빛에 비추어 가지고 그것으로 받은 물

성질은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눈이 밝아지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어린이의 열과 번갈증을 낫게 한다.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헌데와 옴을 씻으면 흠집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옷때를 없애는 것이 잿물과 같다.

 

종류

특성

반천하수(半天河水)

대울타리 끝과 높은 나무의 구멍에 고인 빗물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마음병과 귀신들려 앓은 병을 다스리고 귀신에 홀려 헛소리하는 것을 없앤다.

옥유수(屋유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미친 개한테 물려서 생긴 헌데[犬咬瘡]를 씻는다. 지붕에 물을 끼얹고 처마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받아 쓰기도 한다. 또는 물을 처마의 흙이 젖도록 끼얹은 다음 그 흙을 걷어서 개한테 물려서 생긴 헌데에 붙이면 곧 낫는다.

모옥누수(茅屋漏水)

새미엉에서 흘러 내린 물)

운모독(雲母毒)을 풀기 때문에 운모를 법제할 때에 쓴다.

옥정수(玉井水)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샘물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윤택해지고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산골짜기의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물을 말한다. 산에 옥이 있으면 풀과 나무에도 윤기가 돈다. 이처럼 풀과 나무에도 윤기가 돌게 하는데 어찌 사람을 윤택해지게 하지 않겠는가. 산에 사는 사람이 오랫동안 사는 것은 옥돌의 진액을 먹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짜며[떝] 독이 약간 있는데 이 물을 끓여서 목욕하면 풍으로 가려운 것[風瘙]과 옴[疥癬]이 낫는다. 1홉을 마시면 토하고 설사한 다음 식체로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던 것이 낫는다.

천리수(千里水)

멀리서 흘러내리는 물

멀리서 흘러 내리면서 많은 구멍과 웅덩이를 지나왔기 때문에 손발 끝에 생긴 병에 쓰는 약과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약을 달이는 데 쓴다. 앓고 난 뒤의 허약해진 것을 낫게 한다. 1만 여번 드리워서 약을 달이거나 헛것을 없애는 데 쓰면 효과가 있다.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

곽란을 치료하는데 방광경으로 들어가서 분돈증(奔豚證)도 낫게 한다. 맛이 달고[甘] 성질이 따뜻하며[溫] 부드럽기 때문에 상한음증(傷寒陰證)을 치료하는 약을 달이는 데 쓴다.

역류수(逆流水)

천천히 휘돌아 흐르는 물

거슬러 흐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담음을 토하게 하는 약을 타서 쓴다.

순류수(順流水)

순하게 흐르는 물

성질이 순하고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하초와 허리, 무릎의 병을 치료하는 데 쓴다.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약을 달이는 데도 쓴다.

급류수(急流水)

빨리 흐르는 여울물

아래로 빨리 흐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약이나 정강이 아래에 생긴 풍증을 치료하는 약을 달이는 데 쓴다.

온천물[溫泉]

따뜻한 물

여러 가지 풍증으로 힘줄과 뼈마디가 가늘어 지는 것[筋骨攣縮]과 피부의 감각이 벗어지고[皮膚頑痺] 손발을 잘 쓰지 못하는 증, 문둥병, 옴, 버짐이 있을 때 이 물에 목욕한다. 목욕하고 나면 허해지고 피곤하므로 약이나 음식으로 보해야 한다.

 

종류

특성

냉천(冷泉)

차가운 물

편두통 때나 등골이 싸늘한 때나 화가 속으로 몰리면서 오한이 나는 증[火蔚惡寒] 때 이 물에 목욕하면 곧 낫는다. 냉천의 밑에는 백반이 있으므로 물 맛이 시고 떫고차니 7~8월 경에 목욕 하되, 밤에 하면 반드시 죽는다.

장수(漿水)

좁쌀로 쑨 죽의 윗물

갈증을 멎게 하고 곽란, 설사, 이질을 낫게 한다. 그리고 답답해지는 증[煩]을 풀어주고 지나치게 졸리는 것을 없앤다.

지장수[地漿水]

누런 흙물

중독되어 안타깝게 답답한 것[煩悶]을 푼다. 또한 여러 가지 중독도 푼다. 산에는 독버섯이 있는데 이것을 모르고 삶아 먹으면 반드시 생명이 위험하다. 또한 신나무버섯(楓樹菌)을 먹으면 계속 웃다가 죽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오직 이 물을 마셔야 낫지 다른 약으로는 살릴 수 없다.

요수

산골에 고인 빗물

상한으로 생긴 황달을 치료하는 데는 마황연교탕을 쓰되 산골에 고인 빗물에 달여 먹어야 한다고 한 것은 그 맛이 슴슴하여[味薄] 습을 돕지 않기 때문이다.

생숙탕(生熟湯)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것

여기에 닦은 소금을 타서[炒꽰] 1-2되 마시면 음식에 체한 것과 독이 있는 음식을 먹어서 곽란이 되려고 하던 것도 토하고 낫는다.

열탕(熱湯)

객오로 죽을 것같이 된 것과 곽란으로 쥐가 이는 데 쓴다. 양기(陽氣)를 도와주고 경락을 통하게 하므로 냉비증[冷痺] 때 다리와 무릎까지 담그고 땀을 내면 좋다.

마비탕(麻沸湯)

생삼을 삶은 물

삼을 담갔던 즙은 주로 소갈증에 쓴다. 냄새가 약하고 허열을 내리운다.

조사탕(繰絲湯)

누에 고치를 삶은 물

회충(뗺蟲)을 없애는 데 쓴다. 그것은 고치를 삶은 물이 벌레를 죽이기 때문이다. 또는 주로 소갈증이나 입이 마르는 데[口乾] 쓴다.

증기수(甑氣水)

시루 뚜껑에 맺힌 물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길어지고 빽빽하게 나오며 거멓게 되고 윤기가 돈다.

동기상한(銅器上汗)

구리그릇 뚜껑에 맺힌 물

구리그릇 뚜껑에 맺혔던 물이 떨어진 음식을 먹으면 악창(惡瘡)과 내저(內疽)가 생기게 된다.

취탕(炊湯, 숭늉)

묵은 숭늉

하룻밤 묵은 것으로 얼굴을 씻으면 얼굴에 윤기가 없어지고 몸을 씻으면 버짐[癬]이 생긴다.

 

 

 뉴스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뉴스경북/취재부 김승진 기자 기자 newsgb@naver.com
Copyright @2014 뉴스경북 Corp. All rights reserved.

뉴스경북 등록번호 : 경북, 아 00308 | 등록일 : 2014.04.25 | 대표 : 장세연 | 발행인 : 김재원 | 편집인 : 김재원 광고/후원 : 새마을금고 9003-2591-8921-1 뉴스경북(권오한) 경북 안동시 서동문로 156, 801호(서부동) TEL : 054) 842-6262 FAX : 054) 843-6266 | 사업자등록번호 : 580-42-00132 Copyright©2014 뉴스경북 All right reserved. mail to : newsgb197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