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용 경북도지사, 시베리아 황단열차(TSR) 탑승 문화 허브 등 확인

  • 등록 2018.05.30 18:32:46
크게보기

블라디보스토크-우스리스크 구간... 동북아 경제․문화 허브 도약 의지 표명



[경북도/뉴스경북=김재원 기자] 김관용 경상북도지사30() 오전 시베리아 횡단열차(TSR)의 출발역인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우스리스크 구간을 2시간 20분 동안 탑승, 유라시아대륙을 연결하는 신 북방경제시대가 하루 빨리 실현되기를 기원했다.

 

이는 지난 24일 한반도 종단철도(TKR)의 조기 개통을 희망하며 진행한 포항-영덕 구간 동해중부선 열차 탑승 행사의 연장선으로, 초원 실크로드를 현장에서 달려봄으로써 지난 5년간 추진되었던 코리아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정리하는 의미가 있다.

 

김 지사 일행은 열차 탑승 전 블라디보스토크 기차역과 항만 등 주요 물류시설을 둘러보고 앞으로 도래할 유라시아 시대에 대비, 경북이 선도적으로 준비할 방안을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열차 이동 중에는 북방초원실크로드 사절단과 간담회를 통해 정부의 신 북방정책과 연계한 북방경제 초원실크로드 사업의 의의와 향후 방향을 확인하기도 했다.

    


 

앞으로 TKRTSR이 연결되면 유라시아를 관통하는 새로운 물류 대동맥이 완성되고 경북도가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와 유럽 각 국가를 이어주는 명실상부한 교통물류경제문화 허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물류비 절감 뿐 아니라 러시아 극동지역과 중국 동북 3성을 포함하는 거대한 동북아 경제권이 형성되면서 13천만명의 소비시장이 열리고 북방지역의 풍부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 경북도 우수기업의 경제영토가 확장되고 한국경제가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된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남북철도가 다시 연결되고 중국, 러시아와 국제 열차가 다니게 되면 누가 뭐래도 가장 수혜를 보는 국가는 한국, 그중에서도 경북도가 될 것이라며

오늘 우리는 그동안 꿈꿨던 경북이 유라시아 횡단철도의 종착역이자 시발역이 되고 중국-러시아-중앙아시아-유럽의 문화와 경제를 연결하는 주인공이 되는 현장에 서 있다. 그런 의미에서 경북이 추진해 온 실크로드 프로젝트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자료제공/국제통상과

NEWSGB PRESS 


















사회부/김재원 기자 기자 newsgb@naver.com
Copyright @2014 뉴스경북 Corp. All rights reserved.

뉴스경북 등록번호 : 경북, 아 00308 | 등록일 : 2014.04.25 | 대표 : 장세연 | 발행인 : 김재원 | 편집인 : 김재원 광고/후원 : 새마을금고 9003-2591-8921-1 뉴스경북(권오한) 경북 안동시 서동문로 156, 801호(서부동) TEL : 054) 842-6262 FAX : 054) 843-6266 | 사업자등록번호 : 580-42-00132 Copyright©2014 뉴스경북 All right reserved. mail to : newsgb197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