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시이껴?
밥 잡샀니껴?
우리 참 오랫 마이씨더
참 좋으이더
이게 얼마 마이껴
잘 지냈니껴
옛모습 고대로씨더
참 좋으이더
머한다고 그리 바빴는지
서로 얼굴도 못보고 지냈니더
우리 인제는 자주쫌 보시더
이래 보이 얼매나 좋으이껴
안글리껴
안녕하시껴
밥잡샀니껴
우리 첨 오랫마이씨더
참좋으이더
<심재경 작사,곡. '참 좋으이더' 중>
MBC ‘대학가요제’ 대상(1983) 그룹인 ‘에밀레’ 출신이자 그룹 ‘우리 동네 사람들’의 보컬인 심재경이 지난 5월 8일 1집 ‘낙동연가’(洛東緣歌)를 발표했다.
심재경이 작사·작곡·노래하고 제작한 본 앨범에는 어린 시절 고향 안동과 낙동강변에서의 아련한 추억을 솔직 담백한 가사에 풀어낸 7곡이 담겨있다.
안동 지역 말로 가사를 옮긴 타이틀곡 ‘참 좋으이더’는 지역 말 특유의 음률을 살린 노래로 편안한 목소리로 말하듯 노래한다.
안동교대부국(초등학교) 동문합창단을 조직하여 자주 모여 노래를 하다 보니 자연스레 안동과 관련된 노래를 만들게 되었다며 '참좋은데요'라는 뜻으로 쓰이는 안동 사투리 노래이다.
구수한 사투리 노래이지만 ‘우리 동네 사람들’에서 함께 활동한 김혜연, 박상욱이 코러스를 더하고 세련된 어쿠스틱 사운드를 입혀 색다른 느낌을 준다.
안동을 상징하는 노래들이 심재경으로 인해 봇물터지듯 마치, 널리 퍼져 나아가는 에밀레 종소리 처럼 객지에서 고향이 안동인 사람들의 영혼을 흔들어 놓는 계기가 되어 주고있다.
특히 '청량산 밤하늘'에서는 아내 김혜연과 함께 노래한다.
경쾌한 멜로디가 흥겨운 ‘아지매쏭’ 역시 경북 북부 지역 말로 노래한다.
서울에서 내려오는 자식을 챙겨주기 위해 장을 보는 우리 어머니가 시장을 오가며 이웃과 나누는 대화가 아코디언 연주로 생생하게 떠 올려 준다.
‘이 열차 잠시 후 제천, 제천역에서 8분간 정차합니다’란 기차 안내방송으로 시작되는 ‘제천역 가락국수’에는 과거 중앙선, 태백선 열차를 타던 사람들에게는 잊을 수 없는 추억거리를 담았다. 달리는 기차의 느낌을 표현한 권병호의 블루스 하모니카 연주가 인상적이다.
심재경은 “특정 지역을 테마로 한 음반이지만 같은 정서를 공유한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도 공감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런 심재경이 6월 말경 안동 구시장 건너편 풍류살롱에서 공연을 준비하고 있다.
안동에서 '심치과 의원' 이라 하면 '아~ 심재경이 심치과 막내 자제구나!' 쉽게 알려지게 될 것 같다.
안동 사람들의 노래가 아니라 우리들의 노래로 자리잡게 되길 안동사람들이 불러주고 찾아 주어야 하는 일만 남았다.
<음반출시 기념콘서트 자료>
NEWS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