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속초 31.5℃
  • 구름많음철원 28.6℃
  • 구름많음동두천 29.3℃
  • 구름많음대관령 24.3℃
  • 구름많음춘천 28.3℃
  • 구름많음백령도 27.9℃
  • 구름많음북강릉 32.0℃
  • 맑음강릉 33.1℃
  • 맑음동해 31.3℃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원주 29.1℃
  • 구름조금울릉도 31.5℃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영월 28.0℃
  • 구름조금충주 29.4℃
  • 구름많음서산 29.6℃
  • 구름조금울진 31.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추풍령 28.7℃
  • 구름조금안동 30.2℃
  • 맑음상주 31.2℃
  • 구름조금포항 31.4℃
  • 맑음군산 30.8℃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맑음창원 30.1℃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통영 30.9℃
  • 구름조금목포 30.6℃
  • 맑음여수 29.7℃
  • 구름많음흑산도 30.6℃
  • 구름조금완도 32.8℃
  • 맑음고창 31.0℃
  • 구름조금순천 29.0℃
  • 구름많음홍성(예) 30.2℃
  • 맑음제주 31.5℃
  • 맑음고산 28.9℃
  • 맑음성산 31.0℃
  • 맑음서귀포 30.8℃
  • 구름조금진주 29.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많음양평 28.3℃
  • 구름많음이천 29.0℃
  • 구름많음인제 27.9℃
  • 구름많음홍천 29.5℃
  • 맑음태백 26.9℃
  • 구름많음정선군 30.5℃
  • 구름조금제천 28.1℃
  • 구름조금보은 27.9℃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보령 29.9℃
  • 맑음부여 29.3℃
  • 맑음금산 29.4℃
  • 맑음부안 30.3℃
  • 맑음임실 28.8℃
  • 맑음정읍 31.3℃
  • 맑음남원 29.9℃
  • 구름조금장수 28.7℃
  • 맑음고창군 30.7℃
  • 맑음영광군 30.1℃
  • 맑음김해시 31.5℃
  • 맑음순창군 30.0℃
  • 맑음북창원 31.3℃
  • 맑음양산시 32.0℃
  • 구름조금보성군 30.8℃
  • 구름조금강진군 30.8℃
  • 구름조금장흥 30.7℃
  • 구름조금해남 31.0℃
  • 구름조금고흥 33.0℃
  • 맑음의령군 30.2℃
  • 맑음함양군 31.1℃
  • 구름조금광양시 30.6℃
  • 맑음진도군 28.9℃
  • 맑음봉화 27.9℃
  • 맑음영주 30.1℃
  • 구름조금문경 29.4℃
  • 구름조금청송군 31.0℃
  • 맑음영덕 31.8℃
  • 맑음의성 30.7℃
  • 맑음구미 31.4℃
  • 맑음영천 29.9℃
  • 맑음경주시 31.7℃
  • 맑음거창 30.2℃
  • 맑음합천 31.1℃
  • 맑음밀양 32.0℃
  • 맑음산청 29.9℃
  • 구름조금거제 30.6℃
  • 맑음남해 29.3℃
기상청 제공

경북의 魂, 경북의 힘!

[뉴스경북=포항시] 포항 보경사 적광전 보물 지정 예고

 

 

포항시에 위치한 ‘보경사 적광전(浦項 寶鏡寺 寂光殿)’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보경사 연기(緣起, 절을 짓게 된 유래 등에 대한 설화)에 따르면 보경사는 신라 진평왕 25년(602) 진(陳)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지명(智明) 법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1588년 사명대사 유정이 지은 ‘내연산보경사금당탑기(內延山寶鏡寺金堂塔記(1)’에는 통일신라 경덕왕 4년(745)에 승려인 철민 화상(哲敏 和尙)이 중창(重創(2)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의 적광전은 조선 숙종 3년(1677)에 중창한 것으로 추정된다.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신 적광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多包系(3) 맞배지붕 건물이다. 초석(礎石, 기둥을 받치는 부재), 고막이(4) 등은 전형적 통일신라기 건축 기법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면에 신방석(信防石(5) 부재도 남아 있어 신라 시대 고부재(古部材)를 사용해 중창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전면 중심칸에는 사자를 조각한 신방목(信防木)이 있는데 보통 둥글게 만들어 태극문양 등을 새기는 데 비해 그 조각이 정교하고 사자상을 취한 사례가 국내에는 드물어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1.보경사의 금당인 적광전 앞에 위치한 석탑을 세우게 된 내력에 대한 기록.

2.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지음.

3.기둥 상부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한 양식.

4.하방(下防, 기둥 하부를 가로로 연결하는 부재)을 받치는 부위.

5.신방목의 받침석.

6.문기둥 밑에 놓이는 부재.

 

 

아울러, 일반적으로 다포계 맞배지붕 건물에서는 측면에 공포를 두지 않으나 적광전은 예외적으로 측면에도 공포가 있다. 또한, 다포계임에도 우물반자(우물 정 ‘井’자 모양의 천장)를 설치하지 않고 서까래를 그대로 드러낸 연등천장(緣背天障)으로 처리한 것도 특징적이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포항 보경사 적광전’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해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자료제공,문화예술과>

 

보물 지정 예고 개요

 

□ 종 별: 보물

□ 문화재명: 포항 보경사 적광전(浦項 寶鏡寺 寂光殿)

지정내용

ㅇ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리 622

ㅇ 양 식: 목구조, 5량가, 다포계 맞배지붕

ㅇ 수 량: 1동

ㅇ 조성연대: 조선 시대

ㅇ 소유자(관리자): 보경사(보경사)

ㅇ 지정면적: 61.56㎡

지정사유

보경사는 신라 진평왕 25년(602) 진(陳)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지명(智明) 법사에 의해 창되었다고 전함. 또한, 1588년 사명대사 유정이 지은 ‘내연산보경사금당탑기(延山寶鏡寺金堂塔記)’에는 통일신라 경덕왕 4년(745)에 승려인 철민 화상(哲敏 和尙)이 중창(重創)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의 적광전은 조선 숙종 3년(1677)에 중창한 것으로 추정됨.

ㅇ 적광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평면에 다포계 맞배지붕이며,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신 전각임. 주초(柱礎)는 주좌(柱座)와 고막이가 뚜렷한 통일신라기 초석(礎石)이고 고막이도 돌로 만든 전형적 통일신라기 건축기법이며, 전면에 신방석(信防石) 부재도 남아 있어 신라 시대 고부재(古部材)를사용하여 중창하였을 것으로 보임.

ㅇ 전면 중심칸에는 사자를 조각한 신방목(信防木)이 결구되어 있는데 보통 둥글게 만들어 태극문양 등을 새기는 데 비해 사자상의 조각이 정교하고 국내의 사례가 적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음.

공포는 다포계열로 정면과 배면은 주간포(柱間包)를 2구씩, 양 측면은 1구씩 설치하였음. 일반적으로 맞배지붕 다포 건축물에서 측면에 공포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상례이나 적광전은 다소 예외적임. 내외 출목 수가 같은 특징이 있으며 공포의 세부 형식에서 17세기 말 다포계 공포의 특징을 잘 보여줌. 다포계인데도 우물반자를 설치하지 않고 가구를 그대로 드러낸 연등천장(緣背天障)으로 처리한 것 또한 특징임.

이처럼 적광전은 구조적으로나 의장적으로 매우 독특할 뿐만 아니라 조선 중기의 특징적인 건축 수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하여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함.

 

 

보경사 적광전(정면)

 

 

뉴스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