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속초 21.0℃
  • 흐림철원 23.8℃
  • 흐림동두천 23.0℃
  • 흐림대관령 17.8℃
  • 흐림춘천 23.5℃
  • 구름조금백령도 23.8℃
  • 북강릉 20.3℃
  • 흐림강릉 20.8℃
  • 흐림동해 21.1℃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원주 24.9℃
  • 울릉도 20.6℃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영월 26.8℃
  • 구름많음충주 26.1℃
  • 구름많음서산 27.4℃
  • 흐림울진 23.6℃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구름많음추풍령 24.5℃
  • 구름많음안동 26.8℃
  • 구름많음상주 26.0℃
  • 구름많음포항 23.5℃
  • 구름조금군산 26.6℃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창원 28.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맑음통영 28.7℃
  • 구름많음목포 26.9℃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조금흑산도 28.6℃
  • 구름조금완도 29.4℃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조금순천 26.8℃
  • 구름많음홍성(예) 29.6℃
  • 구름많음제주 29.8℃
  • 맑음고산 28.9℃
  • 맑음성산 29.9℃
  • 구름조금서귀포 31.7℃
  • 구름조금진주 29.6℃
  • 흐림강화 26.6℃
  • 흐림양평 25.7℃
  • 구름많음이천 28.4℃
  • 흐림인제 22.6℃
  • 흐림홍천 23.1℃
  • 흐림태백 19.3℃
  • 흐림정선군 21.8℃
  • 구름많음제천 24.3℃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조금보령 28.3℃
  • 구름많음부여 28.8℃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조금부안 27.8℃
  • 구름많음임실 26.8℃
  • 구름조금정읍 28.8℃
  • 구름많음남원 28.2℃
  • 구름많음장수 25.0℃
  • 구름조금고창군 28.3℃
  • 맑음영광군 28.5℃
  • 구름많음김해시 29.1℃
  • 구름많음순창군 28.0℃
  • 구름조금북창원 29.2℃
  • 구름많음양산시 29.5℃
  • 맑음보성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조금장흥 29.1℃
  • 구름많음해남 28.4℃
  • 구름조금고흥 29.5℃
  • 구름많음의령군 28.5℃
  • 구름조금함양군 28.3℃
  • 구름조금광양시 29.3℃
  • 구름조금진도군 27.7℃
  • 흐림봉화 23.9℃
  • 구름많음영주 26.4℃
  • 구름많음문경 26.9℃
  • 구름많음청송군 26.8℃
  • 흐림영덕 21.2℃
  • 구름많음의성 28.2℃
  • 흐림구미 27.3℃
  • 구름많음영천 27.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구름조금거창 29.1℃
  • 구름많음합천 30.1℃
  • 구름많음밀양 29.5℃
  • 구름조금산청 28.8℃
  • 맑음거제 28.6℃
  • 맑음남해 29.1℃
기상청 제공

경북 명소.명인

[뉴스경북=김천시] 고방사 아미타설법여래도,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고방사 아미타설법여래도(보물 제1854호)와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보물 제1859호)이 2015. 03. 04일 문화재청고시를 통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되었다.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1688년에 조성된 후불화로서, 敏圓(민원)을 수화승으로 하여 竹䕺(죽총), 竟粲(경찬), 覺林(각림) 등 총 4명의 화승이 그렸다.

 

수화승 민원은 17세기 후반에 활약한 화승으로 알려져있으나 현전하는 작품은 이 작품이 유일하여 작품의 가치를 한층 높여준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에 아미타불과 8대보살, 용왕과 용녀, 10대 제자 중 6제자, 사천왕, 팔부중 일부 등을 배치한 간단한 구성을 보여준다.

 

본존의 키형 광배를 비롯하여 높은 육계표현, 천공 바탕에 표현된 화문, 채운의 끝부분에 흰색을 칠해 강조하는 기법, 불보살을 제외한 존상 얼굴에 바림을 이용한 음영법 등 17세기 후반 불화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은 ‘順治八年辛卯四月’(순치팔년신묘사월-1651년)이라는 묵서기가 확인됨으로써 대웅전의 중건과 함께 제작된 17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목조 불단이다.

 

1668년 작품으로 보이는 삼존불상과 벽화·단청, 그리고 1744년 삼존후불탱화와 함께 예배대상과 한 세트를 이루며 조성된 점에서 조선후기 불전 건축의 내부 장엄을 한눈에 살펴 볼수 있는 귀중한 예이다.

 

17세기 중반의 대표적인 편년 자료인 동시에 조선 후기 수미단에서 볼수없는 다양한 소재와 문양들을 디오라마식으로 장식한 점이라던가 내부에 조각된 고부조의 투각과 화려한 채색법을 통해 조선후기 목공예의 진수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수미단의 장엄과 조각적인 명에 있어 당시 불교 목조각의 최고의 정수를 보여준다.

 

이로서 우리시에는 국보 1점, 보물 17점 등 국가지정문화재 23점으로 도지정문화재 38점과 함께 총 61점의 문화재를 보유하게 되었다. <자료제공,새마을문화관광과>

 

 

보물지정-고방사 탱화, 수미단

 

 

 

 

뉴스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