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4 (목)

  • 흐림속초 21.0℃
  • 흐림철원 23.8℃
  • 흐림동두천 23.0℃
  • 흐림대관령 17.8℃
  • 흐림춘천 23.5℃
  • 구름조금백령도 23.8℃
  • 북강릉 20.3℃
  • 흐림강릉 20.8℃
  • 흐림동해 21.1℃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원주 24.9℃
  • 울릉도 20.6℃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영월 26.8℃
  • 구름많음충주 26.1℃
  • 구름많음서산 27.4℃
  • 흐림울진 23.6℃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구름많음추풍령 24.5℃
  • 구름많음안동 26.8℃
  • 구름많음상주 26.0℃
  • 구름많음포항 23.5℃
  • 구름조금군산 26.6℃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창원 28.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맑음통영 28.7℃
  • 구름많음목포 26.9℃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조금흑산도 28.6℃
  • 구름조금완도 29.4℃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조금순천 26.8℃
  • 구름많음홍성(예) 29.6℃
  • 구름많음제주 29.8℃
  • 맑음고산 28.9℃
  • 맑음성산 29.9℃
  • 구름조금서귀포 31.7℃
  • 구름조금진주 29.6℃
  • 흐림강화 26.6℃
  • 흐림양평 25.7℃
  • 구름많음이천 28.4℃
  • 흐림인제 22.6℃
  • 흐림홍천 23.1℃
  • 흐림태백 19.3℃
  • 흐림정선군 21.8℃
  • 구름많음제천 24.3℃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조금보령 28.3℃
  • 구름많음부여 28.8℃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조금부안 27.8℃
  • 구름많음임실 26.8℃
  • 구름조금정읍 28.8℃
  • 구름많음남원 28.2℃
  • 구름많음장수 25.0℃
  • 구름조금고창군 28.3℃
  • 맑음영광군 28.5℃
  • 구름많음김해시 29.1℃
  • 구름많음순창군 28.0℃
  • 구름조금북창원 29.2℃
  • 구름많음양산시 29.5℃
  • 맑음보성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조금장흥 29.1℃
  • 구름많음해남 28.4℃
  • 구름조금고흥 29.5℃
  • 구름많음의령군 28.5℃
  • 구름조금함양군 28.3℃
  • 구름조금광양시 29.3℃
  • 구름조금진도군 27.7℃
  • 흐림봉화 23.9℃
  • 구름많음영주 26.4℃
  • 구름많음문경 26.9℃
  • 구름많음청송군 26.8℃
  • 흐림영덕 21.2℃
  • 구름많음의성 28.2℃
  • 흐림구미 27.3℃
  • 구름많음영천 27.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구름조금거창 29.1℃
  • 구름많음합천 30.1℃
  • 구름많음밀양 29.5℃
  • 구름조금산청 28.8℃
  • 맑음거제 28.6℃
  • 맑음남해 29.1℃
기상청 제공

문화공연/전시

[뉴스경북=대구시] 대구근대역사관 기회전 ... '지도(地圖) 속 대구 - 길,사람,건물' 3.26~6.28일까지

 

지도(地圖) 통해 보는 대구의 옛 모습

대구근대역사관 기획전‘지도 속 대구-길, 사람, 건물’선보여

 

대구근대역사관은 3월 26일부터 6월 28일까지 근대역사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옛 지도와 사진으로 보는 ‘지도 속 대구 : 길, 사람, 건물展’을 연다.

 

이번에 선보이는 유물은 조선중기부터 근대기까지의 지도와 사진 등 총 64점으로 당시 대구지역의 도로망, 건물의 모습 등 대구의 지리적인 변천과정을 볼 수 있다.

 

특히 ‘2015 대구경북세계 물포럼’과 연계, 지도에 나타난 물길 등 물과 관련한 대구의 지리적 특성을 알 수 있는 유물도 선보인다.

 

눈길을 끄는 유물은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품인 ‘대구 달성도(大丘 達城圖)’, 이 지도는 겸재 정선(鄭歚)의 손자인 정황(鄭榥, 1735-1800)이 대구의 모습을 진경산수화풍으로 묘사해 지도보다는 회화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대구전도(大邱全圖)’는 1903년 경부철도주식회사가 대구시의 측량지도를 담은 엽서 형태의 지도, 이 지도에는 고종이 황제로 즉위한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과 광무 10년(1906년) 연호가 들어간 스탬프가 찍혀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밖에 1928년 대구부지도(大邱府地圖)에는 관풍루가 달성공원으로 이전되어 간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당시의 주요 도로망과 하천을 살펴 볼 수 있다.

 

유물은 △성곽도시, 대구 △대구읍성의 철거와 도시공간구조 변화 △대구와 물 △대구 가로망의 변화와 도시 발전 등 4개 주제별로 소개된다.

 

- ‘성곽도시, 대구’ 코너에서는 읍성이 허물어지기 전, 성곽으로 둘러싸인 대구의 옛 모습을 고지도와 사진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고지도를 통해 1736년 대구읍성이 석축되기 전의 모습과 그 후의 모습도 비교할 수 있다. 지금은 허물어져 버린 달서문, 영남제일관 등의 모습도 사진자료를 통해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다.

 

- ‘대구읍성의 철거와 도시 공간구조 변화’ 코너에서는 대구역 개통, 대구읍성 철거로 달라진 대구 도로망의 변화와 함께 새로 들어선 시설물 등을 만날 수 있다. 또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구 읍성 내의 중북부 일대와 성 밖의 동부 일대에 거주하고, 한국인들은 구 읍성 남부와 성 밖 서남부 구릉에 거주하게 되는 뚜렷한 지역분화 현상도 살펴 볼 수 있다.

 

- 특히 ‘대구와 물’ 코너에서는 대구의 상수도 역사와 화원유원지의 옛 모습을 볼 수 있다. 금호강과 낙동강 등 물줄기로 둘러싸인 대구의 모습을 사진자료와 지도를 통해 만날 수 있다. 이 코너는 전시 기간 중 지역에서 열리는 ‘2015 대구경북세계 물포럼’과 연계해 지도에 나타난 물길 등 물과 관련한 대구의 지리적 특성을 엿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대구 가로망의 변화와 도시 발전’코너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80년대까지의 대구의 모습을 사진 자료와 관련 자료를 통해 대구 도시 가로망의 발달과 대구 도시발전 기반 구축이 완성되어 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지도는 산, 하천 등의 지형 모습을 담은 자연 지리 정보와 도로, 건축 등의 인문 사회 지리 정보를 담고 있다. 또 지도는 축척과 기호로 공간을 기록하고 오랜 시간의 켜를 담고 있어 공간의 변화와 삶의 변화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대구근대역사관 이영주 학예연구사는 “이번 전시는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대구 거리와 주요 건물 등 도시의 변화 모습과 당대인의 삶의 모습을 지도로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자료제공,예술지원과>

 

 

대구부수도전도

 

대구부지도

 

대구전도

 

 

뉴스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