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4 (목)

  • 흐림속초 21.0℃
  • 흐림철원 23.8℃
  • 흐림동두천 23.0℃
  • 흐림대관령 17.8℃
  • 흐림춘천 23.5℃
  • 구름조금백령도 23.8℃
  • 북강릉 20.3℃
  • 흐림강릉 20.8℃
  • 흐림동해 21.1℃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원주 24.9℃
  • 울릉도 20.6℃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영월 26.8℃
  • 구름많음충주 26.1℃
  • 구름많음서산 27.4℃
  • 흐림울진 23.6℃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구름많음추풍령 24.5℃
  • 구름많음안동 26.8℃
  • 구름많음상주 26.0℃
  • 구름많음포항 23.5℃
  • 구름조금군산 26.6℃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창원 28.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맑음통영 28.7℃
  • 구름많음목포 26.9℃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조금흑산도 28.6℃
  • 구름조금완도 29.4℃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조금순천 26.8℃
  • 구름많음홍성(예) 29.6℃
  • 구름많음제주 29.8℃
  • 맑음고산 28.9℃
  • 맑음성산 29.9℃
  • 구름조금서귀포 31.7℃
  • 구름조금진주 29.6℃
  • 흐림강화 26.6℃
  • 흐림양평 25.7℃
  • 구름많음이천 28.4℃
  • 흐림인제 22.6℃
  • 흐림홍천 23.1℃
  • 흐림태백 19.3℃
  • 흐림정선군 21.8℃
  • 구름많음제천 24.3℃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조금보령 28.3℃
  • 구름많음부여 28.8℃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조금부안 27.8℃
  • 구름많음임실 26.8℃
  • 구름조금정읍 28.8℃
  • 구름많음남원 28.2℃
  • 구름많음장수 25.0℃
  • 구름조금고창군 28.3℃
  • 맑음영광군 28.5℃
  • 구름많음김해시 29.1℃
  • 구름많음순창군 28.0℃
  • 구름조금북창원 29.2℃
  • 구름많음양산시 29.5℃
  • 맑음보성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조금장흥 29.1℃
  • 구름많음해남 28.4℃
  • 구름조금고흥 29.5℃
  • 구름많음의령군 28.5℃
  • 구름조금함양군 28.3℃
  • 구름조금광양시 29.3℃
  • 구름조금진도군 27.7℃
  • 흐림봉화 23.9℃
  • 구름많음영주 26.4℃
  • 구름많음문경 26.9℃
  • 구름많음청송군 26.8℃
  • 흐림영덕 21.2℃
  • 구름많음의성 28.2℃
  • 흐림구미 27.3℃
  • 구름많음영천 27.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구름조금거창 29.1℃
  • 구름많음합천 30.1℃
  • 구름많음밀양 29.5℃
  • 구름조금산청 28.8℃
  • 맑음거제 28.6℃
  • 맑음남해 29.1℃
기상청 제공

뉴스경북/종합

[뉴스경북=경북도] 경북도, 내수면어업과 농업 새로운 만남! ... 친환경 논 생태양식 기술개발 추진

 

 

미꾸라지·메기도 키우고, 쌀도 수확하고... 일석이조

 

경상북도 토속어류산업화센터는 FTA 등 대내․외 환경변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수면산업과 농업의 새로운 돌파구로 친환경 논 생태양식 기술개발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센터는 지난 10일 시험포 6개소, 4,198㎡에 미꾸라지(길이 30㎜, 무게 0.1g) 4만 5천 마리와 메기(길이 7㎝m, 무게 6g) 2만 마리, 총 6만 5천 마리를 방양해 친환경 논 생태양식 기술개발에 들어갔다.

 

※ 논 생태양식 : 농지 수생태계 내 유기물 순환을 관리해 생산과 보존을 동시에 달성

즉 노지 내에서 벼와 물고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방법

 

논 생태양식은 농지에 미꾸라지, 메기 등 내수면어종과 벼를 함께 생산하는 내수면어업과 농업을 융합한 신 개념 생명산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유휴농경지를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친환경, 무항생제 등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성공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미꾸라지 친환경 논 생태양식의 경우에는 미꾸라지가 논 바닥에서 생활하며 벼 뿌리에 산소를 공급하고, 잡초제거와 해충을 구제해 뿐만 아니라 배설물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해 벼 생육을 돕는 등 친환경적인 수산물과 농산물을 얻을 수 있는 농법이다.

미꾸라지 생태양식은 벼만 수확하는 단일 경작에 비해 5배 정도의 수익을 올릴 수 있어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미꾸라지 소비량의 90%이상이 중국산이 차지하고 있다.

 

 

   <미꾸라지 생산량 및 수입량>

                                                (단위; 톤)

 

구 분

2009년도

2010년도

2011년도

2012년도

2013년도

9,743

9,518

8,925

8,255

8,263

국내생산량

506

703

569

466

609

수 입 량

9,237

8,815

8,356

7,789

7,654

* 자료 : 통계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권기수 토속어류산업화센터 소장은“이번 친환경 논 생태양식은 올해 문을 연 토속어류산업화센터의 첫 번째 토속어류산업화 프로젝트다”며,“앞으로 친환경 논 생태양식에 적합한 추가 어종 발굴과 논생태양식 시범마을을 지정해 기술 보급에도 적극적 나서겠다”고 밝혔다.<자료제공,토종어류산업화센터>

 

 

논 생태양식시험포 전경>

 

미꾸라지 치어방양>

 

<방양된 메기 치어>

 

뉴스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