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흐림속초 25.6℃
  • 흐림철원 25.7℃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대관령 25.2℃
  • 흐림춘천 26.4℃
  • 박무백령도 20.4℃
  • 흐림북강릉 28.0℃
  • 흐림강릉 29.4℃
  • 흐림동해 24.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많음원주 26.8℃
  • 구름많음울릉도 25.1℃
  • 구름조금수원 28.8℃
  • 구름많음영월 27.8℃
  • 구름많음충주 28.5℃
  • 구름조금서산 29.3℃
  • 구름많음울진 25.0℃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구름많음추풍령 29.7℃
  • 구름조금안동 30.9℃
  • 구름많음상주 31.0℃
  • 구름조금포항 30.4℃
  • 구름조금군산 30.6℃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구름조금창원 31.2℃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통영 26.1℃
  • 구름많음목포 30.4℃
  • 구름많음여수 27.5℃
  • 박무흑산도 23.0℃
  • 구름조금완도 29.4℃
  • 구름조금고창 32.1℃
  • 구름조금순천 30.7℃
  • 맑음홍성(예) 30.0℃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고산 26.4℃
  • 구름많음성산 26.1℃
  • 흐림서귀포 27.7℃
  • 구름많음진주 30.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양평 26.5℃
  • 구름조금이천 28.5℃
  • 흐림인제 25.0℃
  • 구름많음홍천 26.5℃
  • 구름많음태백 28.5℃
  • 흐림정선군 27.3℃
  • 구름많음제천 27.0℃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보령 27.9℃
  • 구름조금부여 29.7℃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조금부안 30.9℃
  • 구름많음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2.5℃
  • 구름조금남원 31.1℃
  • 구름조금장수 30.5℃
  • 구름조금고창군 31.9℃
  • 구름조금영광군 32.0℃
  • 구름조금김해시 30.5℃
  • 구름조금순창군 32.6℃
  • 구름조금북창원 32.9℃
  • 구름많음양산시 30.6℃
  • 구름많음보성군 31.0℃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많음장흥 28.9℃
  • 구름많음해남 29.7℃
  • 구름조금고흥 30.4℃
  • 구름조금의령군 32.1℃
  • 구름많음함양군 33.4℃
  • 구름많음광양시 31.5℃
  • 구름조금진도군 28.1℃
  • 구름많음봉화 29.8℃
  • 구름많음영주 29.2℃
  • 구름많음문경 30.7℃
  • 구름조금청송군 32.4℃
  • 구름많음영덕 28.5℃
  • 구름조금의성 31.0℃
  • 구름많음구미 32.0℃
  • 구름조금영천 31.4℃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창 32.6℃
  • 구름많음합천 32.5℃
  • 구름조금밀양 34.5℃
  • 구름조금산청 32.3℃
  • 구름조금거제 28.1℃
  • 구름조금남해 30.4℃
기상청 제공

경북의 魂, 경북의 힘!

[뉴스경북=고령군] 백제의 축조기술을 적용한 가야 최초의 대형 지하 목곽고(木槨庫), 고령주산성에서 발견 ... 저온 식자재 저장시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재)대동문화재연구원(원장 조영현)이 발굴 조사 중인 ‘고령 주산성’(사적 제61호)에서 백제의 축조기술을 적용한 가야 최초의 대형 지하 저장시설인 목곽고(木槨庫)가 발견되었다.

 

이번 조사는 고령군(군수 곽용환)에서 대가야 역사복원을 위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고령 주산성 종합정비계획의 하나이다.

 

주산성은 6세기 전반에 축조된 대가야의 석축산성이며, 이번에 주산성의 내성(內城)에서 발견된 대형 목곽고는 6세기 중엽 경 백제의 축조기술과 도량형을 적용하여 축조된 것으로 밝혀졌다.

 

대형 목곽고의 축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무른 암반을 가로×세로 8m, 깊이 3.5m 정도로 고 바닥에 약 1.2m 높이로 점토를 채운 후 중앙부에 약 20cm 두께의 목판들을 바둑판무늬의 격자(格子) 모양으로 짜 맞춘 정사각형 평면의 목곽공간을 만들었는데, 규모는 가로×세로 5m, 높이 2m 정도이다. 이후 암반을 판 구덩이의 가장자리에는 석축을 쌓고 석축과 목곽 사이에 1m 이상 점토를 두텁게 채워서 수와 동시에 온도나 습도의 변화를 최소화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과 산성 정상에 조성된 특수시설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목곽고는 음식재료를 가능한 한 오 보관하기 위한 저온 식자재 저장시설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번에 주산성에서 발견된 목곽고와 유사한 구조는 공주 공산성, 대전 계족산성, 이천 설성산성, 금산 백령산성, 대전 월평동 유적 등 백제권역에서 많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축조 시 사용된 도량형도 동시대 백제에서 사용하던 중국의 남조척(南朝尺, 1척=25cm)을 적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당시 백제와 적극적인 문화교류가 있었음을 잘 보여준다.

 

특히, 목곽고가 축조된 6세기 중엽 대가야의 정치적 상황은 백제와 연합하여 신라에 대치하다 관산성 전투(554년)에서 패배한 후 세력이 급격히 약화하는 시점이다. 학계에서는 이 시기 대가야는 친백제 세력에 의해 정국이 주도되었다고 보고 있으며, 대가야 중심부에 백제 묘제의 영향을 그대로 받은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사적 165호), 고아2동 고분, 절상천정총(折上天井塚, 고령군 지산리 소재) 등 새로운 형태의 무덤이 축조된다는 점을 근거로 삼고 있다.

 

이에, 백제기술이 적용된 이번 목곽고의 발견은 이 학설을 보완해줌과 동시에 대가야 말기의 역사를 복원하는 하나의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목곽고의 폐기과정은 대가야 멸망 이후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최초 폐기층의 바닥에 소토(燒土, 불에 탄 흙)와 목탄의 흔적이 잘 남아있으며, 6세기 후엽 경의 신라 단각고배(短脚高杯, 짧은 굽다리 접시)편 등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목곽고는 신라가 대가야를 병합(562년)한 직후 다시 사용하지 못하도록 신라에 의해 의도적으로 불태워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번 발굴조사 결과는 그동안 주로 묘제에 한정되어 진행되던 대가야 역사 연구의 범위를 확장함과 동시에, 문헌자료의 부족으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대가야 말기의 역사, 즉 6세기 중엽 전후 대가야의 정치적 상황, 백제·신라와의 대외적 관계와 문화교류의 측면을 어느 정도 복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제공,문화새마을체육과>

 

 

 

 

 

 

 

 

뉴스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