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속초 28.7℃
  • 흐림철원 29.9℃
  • 흐림동두천 29.3℃
  • 흐림대관령 25.7℃
  • 구름많음춘천 30.8℃
  • 흐림백령도 27.2℃
  • 구름많음북강릉 29.4℃
  • 흐림강릉 30.6℃
  • 구름많음동해 29.5℃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원주 31.2℃
  • 구름조금울릉도 29.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영월 29.5℃
  • 흐림충주 30.5℃
  • 흐림서산 32.9℃
  • 흐림울진 28.1℃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맑음추풍령 29.8℃
  • 구름많음안동 31.2℃
  • 구름많음상주 31.1℃
  • 구름많음포항 28.9℃
  • 구름많음군산 31.2℃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창원 31.6℃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통영 31.9℃
  • 구름조금목포 31.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흑산도 29.0℃
  • 구름조금완도 33.2℃
  • 구름조금고창 32.7℃
  • 맑음순천 30.8℃
  • 구름많음홍성(예) 31.3℃
  • 구름조금제주 31.6℃
  • 구름조금고산 30.4℃
  • 구름조금성산 30.8℃
  • 구름조금서귀포 31.6℃
  • 맑음진주 30.4℃
  • 흐림강화 30.0℃
  • 구름많음양평 29.4℃
  • 구름많음이천 30.1℃
  • 흐림인제 29.1℃
  • 흐림홍천 29.6℃
  • 구름많음태백 29.1℃
  • 구름많음정선군 30.7℃
  • 흐림제천 28.6℃
  • 흐림보은 29.2℃
  • 흐림천안 29.4℃
  • 구름많음보령 33.2℃
  • 구름조금부여 30.6℃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많음부안 32.0℃
  • 구름조금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3.9℃
  • 구름조금남원 31.5℃
  • 구름많음장수 30.2℃
  • 구름조금고창군 32.3℃
  • 구름많음영광군 31.7℃
  • 맑음김해시 33.0℃
  • 맑음순창군 31.1℃
  • 구름조금북창원 33.0℃
  • 구름조금양산시 33.4℃
  • 맑음보성군 31.8℃
  • 구름조금강진군 31.5℃
  • 구름조금장흥 31.3℃
  • 구름조금해남 32.1℃
  • 맑음고흥 32.3℃
  • 맑음의령군 30.6℃
  • 구름조금함양군 31.4℃
  • 맑음광양시 31.6℃
  • 구름조금진도군 30.8℃
  • 흐림봉화 29.4℃
  • 구름많음영주 30.0℃
  • 구름많음문경 30.2℃
  • 흐림청송군 29.6℃
  • 구름많음영덕 29.8℃
  • 구름많음의성 31.3℃
  • 구름많음구미 31.6℃
  • 구름많음영천 32.3℃
  • 맑음경주시 32.0℃
  • 구름많음거창 30.1℃
  • 맑음합천 32.4℃
  • 맑음밀양 33.0℃
  • 맑음산청 31.5℃
  • 맑음거제 31.0℃
  • 구름조금남해 29.3℃
기상청 제공

대구 보자기축제, 화려한 3國 3色 매력에 흠뻑

시원한 날씨와 풍성한 볼거리·즐길거리로 관람객 북적




[대구시/뉴스경북=김승진 기자] 한국·중국·일본 3국의 공동 콘텐츠인 보자기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새로운 개념으로 승화시킨 ‘2018 동아시아 보자기페스티벌’(이하 ’대구 보자기축제‘라 한다)가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2일까지 3일간 대구삼성창조경제단지에서 열렸다. 이번 축제에는 국내외 관람객과 시민 등 5만여 명이 찾아 3국 문화를 주제로 한 축제에 시민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대구시가 주관하고 (재)대구문화재단이 주최한 대구 보자기축제는 동아시아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시와 중국 창사시, 일본 교토시 등 세 도시가 지속적인 문화교류 플랫폼 구축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함께한 문화예술교류 축제이다.


이번 축제는 한·중·일 삼국 보자기의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른 매력을 잘 표현하였고, 평소 쉽게 접하기 어려운 삼국의 다양하고 다채로운 체험·공연행사는 국내외 관람객들의 참여와 호기심을 이끌었다.


시원한 날씨 속에 치러진 개막식에는 권영진 대구시장과 전국 가위바위보대회 개인전 결승 진출자 16명이 ‘시장을 이겨라’ 가위바위보 대결을 펼쳤다.




이날 개인전 우승자(7세 남자 어린이)와 준우승자(41세 여성)에게는 각각 일본과 중국 여행상품권(2인 동반)이 경품으로 주어졌다.


이어진 한·일 성악전공 대학생 16명이 경쾌한 음악인 축배의 노래와 우정의 노래가 시작되자 1,000여 명 관람객들이 끝날 때까지 개막식장을 가득 채웠고, 한일 청년음악가들이 순수하고 아름다운 열정의 무대만으로 충분히 소통하고 화합할 수 있음을 보여줘 큰 감동을 안겨주었다.





좋은 날씨와 함께 즐길거리가 풍성한 축제였다. 한국의 천연염색 체험부스에는 30미터 이상 줄을 서는 등 6개의 전통문화 체험부스에서는 1일 2,000여 명씩 3일간 6,000여 명이 무료 체험을 했다.

어른들은 중국의 상수체험, 일본의 직물체험 등을, 아이들은 삼국의 전통놀이 인 중국의 콩쥬(요요), 찌엔쯔(제기차기), 일본의 카미즈모(종이씨름) 등을 체험하며 즐거워했다.


또한, 볼거리도 풍성한 축제였다. 대구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 마련된 삼국 명인 특별작품 전시전에는 한국의 보자기 작품과 중국의 자수 및 섬유소품, 일본의 기모노 등 정교하고 섬세한 작품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이 외에도 보자기 전문가 이효재의 보자기 특강이 이루어졌고,

특히 제작기간만 3년이 걸렸다는 중국 리엔(호남성 승삼상수유한공사 동사장) 작가의 ‘스노레오파드(눈표범)’ 자수 작품은 실물을 보고 있다는 착각을 일으킬 정도여서 보는 사람마다 탄성을 자아냈다.


올해 처음 선보인 내만보(내가 만든 보자기) 콘테스트에는 시민들이 직접 만든 보자기 30점이 관람객에게 전시되었다. ‘내만보 콘테스트’는 시민이 참여하고 시민이 만들어 가는 축제를 표방하는 대구시의 축제 정책에 가장 잘 부합하는 우수한 콘텐츠로 평가받았다.




이 외에도 3국의 특색을 살린 부스디자인과 3국 전통등불, 일본·중국의 전통악기 연주, 대구시 무형문화재 공연, 뮤지컬, 댄스, 저글링, 마술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들이 펼쳐져 관람객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했다.


대구시 한만수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된 대구 보자기축제는 한·중·일 삼국이 보자기라는 삶의 소품을 문화교류의 콘텐츠로 승화시킨 새로운 개념의 축제이다. 앞으로도 세 도시가 공통의 정서를 느낄 수 있는 문화교류 콘텐츠 발굴에 노력하겠다”고 했다.


사진.자료제공/축제진흥팀

NEWSGB PRESS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