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흐림속초 25.6℃
  • 흐림철원 25.7℃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대관령 25.2℃
  • 흐림춘천 26.4℃
  • 박무백령도 20.4℃
  • 흐림북강릉 28.0℃
  • 흐림강릉 29.4℃
  • 흐림동해 24.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많음원주 26.8℃
  • 구름많음울릉도 25.1℃
  • 구름조금수원 28.8℃
  • 구름많음영월 27.8℃
  • 구름많음충주 28.5℃
  • 구름조금서산 29.3℃
  • 구름많음울진 25.0℃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구름많음추풍령 29.7℃
  • 구름조금안동 30.9℃
  • 구름많음상주 31.0℃
  • 구름조금포항 30.4℃
  • 구름조금군산 30.6℃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구름조금창원 31.2℃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통영 26.1℃
  • 구름많음목포 30.4℃
  • 구름많음여수 27.5℃
  • 박무흑산도 23.0℃
  • 구름조금완도 29.4℃
  • 구름조금고창 32.1℃
  • 구름조금순천 30.7℃
  • 맑음홍성(예) 30.0℃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고산 26.4℃
  • 구름많음성산 26.1℃
  • 흐림서귀포 27.7℃
  • 구름많음진주 30.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양평 26.5℃
  • 구름조금이천 28.5℃
  • 흐림인제 25.0℃
  • 구름많음홍천 26.5℃
  • 구름많음태백 28.5℃
  • 흐림정선군 27.3℃
  • 구름많음제천 27.0℃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보령 27.9℃
  • 구름조금부여 29.7℃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조금부안 30.9℃
  • 구름많음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2.5℃
  • 구름조금남원 31.1℃
  • 구름조금장수 30.5℃
  • 구름조금고창군 31.9℃
  • 구름조금영광군 32.0℃
  • 구름조금김해시 30.5℃
  • 구름조금순창군 32.6℃
  • 구름조금북창원 32.9℃
  • 구름많음양산시 30.6℃
  • 구름많음보성군 31.0℃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많음장흥 28.9℃
  • 구름많음해남 29.7℃
  • 구름조금고흥 30.4℃
  • 구름조금의령군 32.1℃
  • 구름많음함양군 33.4℃
  • 구름많음광양시 31.5℃
  • 구름조금진도군 28.1℃
  • 구름많음봉화 29.8℃
  • 구름많음영주 29.2℃
  • 구름많음문경 30.7℃
  • 구름조금청송군 32.4℃
  • 구름많음영덕 28.5℃
  • 구름조금의성 31.0℃
  • 구름많음구미 32.0℃
  • 구름조금영천 31.4℃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창 32.6℃
  • 구름많음합천 32.5℃
  • 구름조금밀양 34.5℃
  • 구름조금산청 32.3℃
  • 구름조금거제 28.1℃
  • 구름조금남해 30.4℃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경주 읍성(邑城) 5구간 학술발굴조사 착수

문화재청, 경주시, 한국문화재재단, 경주 읍성 동문(東門)의 북편성벽 발굴


[경주시/뉴스경북=김승진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과 경주시(시장 주낙영)는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과 함께 오는 5일부터 약 7개월 동안 경주 읍성 5구간(계림초등교의 동쪽, 길이 약 170m, 면적 5,118)에 대한 학술발굴조사를 시행한다.

 

이번에 발굴하는 5구간은 읍성 동벽의 북쪽 끝 부분이며 북벽으로 연결된다. 읍성의 구간은 경주시의 경주 읍성 정비 복원 기본계획(2009)’에 따라 유일하게 남아 있는 동 측 성벽 56m2구간으로 하고 그 남쪽을 1구간, 북쪽은 공사계획에 따라 345구간으로 구분했으며, 5구간과 연결된 경주 읍성의 동문인 향일문(向日門)과 성곽은 지난해 11월 경주시에서 복원정비를 완료했다.

 

본 발굴조사는 연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경주 읍성의 복원정비를 위한 기초 학술자료 확보가 목적이다. 이번 읍성 5구간 이전에는 34구간 및 동문지 우회도로 구간 발굴을 통해 그 조사 성과가 동문과 성곽의 복원에 활용됐다.

특히, 발굴조사를 진행해 문헌기록에서도 찾을 수 없었던 동문의 옹성 자리가 확인되어 복원됐다.

 

이번 경주 읍성 5구간 발굴에서는 34구간 발굴성과를 이어, 읍성의 잔존 양상 및 범위와 시기별 증개축 과정 및 구조를 찾아 연구하고 읍성 복원을 위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5구간의 동벽 쪽에는 지상으로 남아 있는 성벽 부분이 많은 편이며 현 지표 아래에 성벽의 아랫단과 그 기초 부분이 잘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를 맡은 한국문화재재단 조사연구3팀 박종섭 팀장은 이번 학술발굴에서 동벽(東壁)에서 북벽(北壁)으로 이어지는 성우(城隅)의 존재와 범위, 특징 등 연결양상을 찾아 향후 북벽으로 이어지는 복원정비의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발굴조사의 성과에 대해서는 시민들과 연구자들에게 현장설명회 등으로 공개하여 공유할 계획이며, 문화재청과 경주시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1차 복원 완료한 동성벽과 연결해 2020년부터 발굴구간에 대해 경주읍성 복원정비를 위한 실시 설계와 공사착수 할 예정이다.

    

     

참고자료 : 고려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경주 읍성의 기록

사적 제96호인 경주 읍성의 최초 기록은 고려사(高麗史)』「병지(兵志) 성보조(城保條)에 현종(顯宗) 3(1,012)에 성을 쌓았다는 내용이며, 당시 흙으로 쌓았는지 돌로 쌓았는지는 언급이 없다. 그러나 동경잡기(東京雜記)에 고려 우왕(瑀王) 무오(戊午)(1378)에 석성(石城)으로 개축되었다는 기사로 보아 앞의 현종 때는 토성(土城)으로 판단되며, 실제 경주 읍성 34구간 발굴조사에서 처음 축조된 토성과 석성(石城)으로 개축한 흔적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선 시대 세종, 선조, 영조, 고종에 이르기까지 경주 읍성에 많은 증개축 과정과 내외부의 구조 변경이 있었음을 문헌기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문종실록(文宗實錄)에 따르면 비교적 정확한 성곽(城廓) 제원과 구체적인 구조가 잘 기록되어 있는데, 문종 원년(1451)에 둘레 4,075(1,904m), 높이 116(5.4m) 등과 옹성(甕城)* 및 해자(垓字)**가 없음을 명시하고 있다.

* 옹성(甕城) : 성문의 앞을 가리어 빙 둘러친 성문을 방어하는 작은 성

** 해자(垓子) : 성 밖으로 둘러 판 도랑이나 못

 

그러나 일제강점기 시대까지만 해도 남문 징례문(徵禮門)을 비롯하여 부분적으로 높게 남아 있었던 성벽과 치()*, 해자의 모습을 담은 사진자료와 조사기록들이 있으나 현재는 옛 문헌기록 속 모습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 () : 성벽에서 돌출시켜 쌓은 방어시설



사진.자료제공/문화재정비팀

NEWSGB PRESS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