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1 (토)

  • 흐림속초 29.6℃
  • 흐림철원 24.4℃
  • 흐림동두천 23.5℃
  • 흐림대관령 22.7℃
  • 흐림춘천 24.5℃
  • 흐림백령도 20.7℃
  • 흐림북강릉 28.7℃
  • 흐림강릉 30.0℃
  • 흐림동해 24.7℃
  • 서울 24.7℃
  • 인천 22.4℃
  • 흐림원주 25.6℃
  • 박무울릉도 22.0℃
  • 수원 24.4℃
  • 흐림영월 24.0℃
  • 흐림충주 25.2℃
  • 흐림서산 23.4℃
  • 흐림울진 21.4℃
  • 청주 24.5℃
  • 대전 24.5℃
  • 흐림추풍령 25.6℃
  • 안동 26.5℃
  • 흐림상주 25.5℃
  • 흐림포항 29.5℃
  • 흐림군산 24.5℃
  • 대구 28.9℃
  • 전주 25.7℃
  • 흐림울산 27.3℃
  • 흐림창원 26.0℃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통영 24.5℃
  • 목포 25.0℃
  • 안개여수 23.0℃
  • 흑산도 20.5℃
  • 흐림완도 26.5℃
  • 흐림고창 25.6℃
  • 흐림순천 25.4℃
  • 홍성(예) 24.7℃
  • 흐림제주 29.7℃
  • 흐림고산 22.9℃
  • 흐림성산 24.6℃
  • 박무서귀포 24.6℃
  • 흐림진주 26.2℃
  • 흐림강화 22.9℃
  • 흐림양평 24.2℃
  • 흐림이천 24.8℃
  • 흐림인제 24.6℃
  • 흐림홍천 25.4℃
  • 흐림태백 22.6℃
  • 흐림정선군 24.5℃
  • 흐림제천 23.8℃
  • 흐림보은 24.4℃
  • 흐림천안 24.4℃
  • 흐림보령 24.3℃
  • 흐림부여 24.7℃
  • 흐림금산 25.4℃
  • 흐림부안 25.4℃
  • 흐림임실 25.1℃
  • 흐림정읍 26.0℃
  • 흐림남원 26.9℃
  • 흐림장수 24.7℃
  • 흐림고창군 25.2℃
  • 흐림영광군 25.2℃
  • 흐림김해시 25.1℃
  • 흐림순창군 26.4℃
  • 흐림북창원 26.9℃
  • 흐림양산시 24.9℃
  • 흐림보성군 26.0℃
  • 흐림강진군 26.3℃
  • 흐림장흥 27.1℃
  • 흐림해남 25.6℃
  • 흐림고흥 26.5℃
  • 흐림의령군 26.4℃
  • 흐림함양군 27.4℃
  • 흐림광양시 26.0℃
  • 흐림진도군 24.0℃
  • 흐림봉화 24.6℃
  • 흐림영주 24.2℃
  • 흐림문경 24.6℃
  • 흐림청송군 27.7℃
  • 흐림영덕 28.5℃
  • 흐림의성 26.8℃
  • 흐림구미 27.4℃
  • 흐림영천 28.2℃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창 26.8℃
  • 흐림합천 27.5℃
  • 흐림밀양 28.1℃
  • 흐림산청 25.7℃
  • 흐림거제 24.1℃
  • 흐림남해 25.5℃
기상청 제공

뉴스경북/종합

경북도, 금강송 집중 육성

문화재, 한옥 등 고급 목재 공급 및 산림생태관광자원으로 활용

 

[경북도=뉴스경북/정상윤 기자] 경상북도는 금강소나무의 보전‧관리 및 후계림 육성을 위해 50ha의 산림에 사업비 175백만을 투입하여 조림과 숲 가꾸기를 실시한다.

 

금강소나무육성사업’은 어린나무가꾸기, 솎아베기 등 숲가꾸기로 우량한 숲을 육성하고 조림 및 비료주기 등 지속적인 임지 관리를 함께 실시하는 사업으로 울진과 봉화지역을 중심으로 2004년부터 총56억원을 투입하여 1,700ha의 금강소나무 산림을 가꾸어 왔다.

 

또한 경상북도에서는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으로부터 금강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금강송 보호대책’을 수립하고 항공예찰 및 소나무류 불법 이동단속을 강화하고, 예방나무주사 확대 시행 등 재선충병 유입을 원천 차단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한편, 일명 ‘춘양목’, ‘황장목’으로 알려진 금강소나무는 경상북도 울진ㆍ봉화군 일대와, 강원도 강릉ㆍ삼척을 비롯한 백두대간 지역에 분포하며 수관이 곧고 다른 소나무에 비해 심재(心材)의 비율이 높아(나이테가 촘촘함) 뒤틀림이나 균열이 적고,

쉽게 썩지 않는 등 형질이 우수하고 아름다워 과거부터 궁궐, 사찰 등의 건축재나 가구재, 왕실의 관재(棺材)등으로 사용되어 온 목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우리나라 고유의 향토 수종이다.

 

특히, 2005년 산림청과 문화재청에서는 문화재 복원을 위해 150년간 금강송을 함부로 벌채할 수 없도록 하는 금강송 보호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일대 495ha를 ‘금강 소나무보호림’으로 지정하였으며, 2010년에는 산림보호법 제7조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봉화와 울진군 일대 259ha에서 자라고 있는 금강송 76,056본은 문화재 보수에 사용 될 귀중한 산림자원이다.

 

아울러 금강소나무숲길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및 산양보호구역을 통과하고 있어 탐방객의 안전과 생태계 보전을 위해 숲길안내인을 동반한 예약탐방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방문 3일 전까지 금강소나무숲길 홈페이지(www.uljintrail.or.kr) 또는 전화(054-781-7118)를 통해 예약이 가능하다.

 

한명구 경상북도 산림자원과장은 “금강소나무 육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문화재 보수 및 한옥 건축을 위한 우량목재 공급에 기여하고, 산림치유와 생태관광 자원으로 활용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제공=산림자원과>

 

[참고]

 

<금강소나무분포 현황>

구분

총면적(ha)

국유림(ha)

민유림(ha)

비고

373,546(100%)

99,092(27%)

274,454(73%)

강 원 도

226,439(61%)

62,873(63%)

163,566(60%)

경상북도

147,107(39%)

36,219(37%)

110,888(40%)

 

금강소나무란?

❍ 학명: Pinus densiflora for. erecta

❍ 금강산부터 강원도 및 경북북부 지역에 생육하는 줄기가 곧고 나무껍질이 붉은색을 띠는 소나무를 뜻함

 

금강소나무의 또다른 이름

ㆍ 강 송(剛 松): 금강산소나무란 뜻의 “금강송”을 줄인 말

ㆍ 황장목(黃腸木): 임금의 관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속이 누런색을 띠는 나무라 하여 불리는 말

ㆍ 춘양목(春陽木): 과거 금강소나무가 벌목되어 기차가 있는 봉화 춘양역으로 옮겨져 전국으로 운송되었다고 하여 불리는 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