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1 (토)

  • 흐림속초 29.6℃
  • 흐림철원 24.4℃
  • 흐림동두천 23.5℃
  • 흐림대관령 22.7℃
  • 흐림춘천 24.5℃
  • 흐림백령도 20.7℃
  • 흐림북강릉 28.7℃
  • 흐림강릉 30.0℃
  • 흐림동해 24.7℃
  • 서울 24.7℃
  • 인천 22.4℃
  • 흐림원주 25.6℃
  • 박무울릉도 22.0℃
  • 수원 24.4℃
  • 흐림영월 24.0℃
  • 흐림충주 25.2℃
  • 흐림서산 23.4℃
  • 흐림울진 21.4℃
  • 청주 24.5℃
  • 대전 24.5℃
  • 흐림추풍령 25.6℃
  • 안동 26.5℃
  • 흐림상주 25.5℃
  • 흐림포항 29.5℃
  • 흐림군산 24.5℃
  • 대구 28.9℃
  • 전주 25.7℃
  • 흐림울산 27.3℃
  • 흐림창원 26.0℃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통영 24.5℃
  • 목포 25.0℃
  • 안개여수 23.0℃
  • 흑산도 20.5℃
  • 흐림완도 26.5℃
  • 흐림고창 25.6℃
  • 흐림순천 25.4℃
  • 홍성(예) 24.7℃
  • 흐림제주 29.7℃
  • 흐림고산 22.9℃
  • 흐림성산 24.6℃
  • 박무서귀포 24.6℃
  • 흐림진주 26.2℃
  • 흐림강화 22.9℃
  • 흐림양평 24.2℃
  • 흐림이천 24.8℃
  • 흐림인제 24.6℃
  • 흐림홍천 25.4℃
  • 흐림태백 22.6℃
  • 흐림정선군 24.5℃
  • 흐림제천 23.8℃
  • 흐림보은 24.4℃
  • 흐림천안 24.4℃
  • 흐림보령 24.3℃
  • 흐림부여 24.7℃
  • 흐림금산 25.4℃
  • 흐림부안 25.4℃
  • 흐림임실 25.1℃
  • 흐림정읍 26.0℃
  • 흐림남원 26.9℃
  • 흐림장수 24.7℃
  • 흐림고창군 25.2℃
  • 흐림영광군 25.2℃
  • 흐림김해시 25.1℃
  • 흐림순창군 26.4℃
  • 흐림북창원 26.9℃
  • 흐림양산시 24.9℃
  • 흐림보성군 26.0℃
  • 흐림강진군 26.3℃
  • 흐림장흥 27.1℃
  • 흐림해남 25.6℃
  • 흐림고흥 26.5℃
  • 흐림의령군 26.4℃
  • 흐림함양군 27.4℃
  • 흐림광양시 26.0℃
  • 흐림진도군 24.0℃
  • 흐림봉화 24.6℃
  • 흐림영주 24.2℃
  • 흐림문경 24.6℃
  • 흐림청송군 27.7℃
  • 흐림영덕 28.5℃
  • 흐림의성 26.8℃
  • 흐림구미 27.4℃
  • 흐림영천 28.2℃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창 26.8℃
  • 흐림합천 27.5℃
  • 흐림밀양 28.1℃
  • 흐림산청 25.7℃
  • 흐림거제 24.1℃
  • 흐림남해 25.5℃
기상청 제공

경북의 魂, 경북의 힘!

경북여성의 정신 ‘뜻, 멋, 맛’을 만나다

역사속 숨겨진 경북여성인물 재조명 사업 확대․추진으로 양성평등 실현

여성정책 행정부서 설치 70주년, ‘경북여성 아카이브 사업’ 확대 추진

 

 

[경북도=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경상북도는 시대와 지역을 아우르며 역사의 중심에 서서 특유의 인내와 저력으로 가문을 일으키고 국난 때는 나라를 위해 온 몸을 던졌지만 역사의 뒤안길에서 기억되지 못하고 조명 받지 못했던 지역출신의 여성인물을 여성의 눈으로 경북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는 다양한 선양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도는 경북여성 통사인 ‘경북여성사’ 발간을 시작으로 ‘경북여성 인물사’,‘여중군자 장계향’,‘여성인물 구술생애사’, 분야별 ‘경북여성 1호’, ‘장한여성상 수상자들의 삶’, ‘경북여성정체성과 혼’ 등의 다양한 연구서를 발간했다.

 

 

 

 

아울러, 지역여성 인물과 역사를 알리기 위한 아카데미, 학술행사, 탐방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특히, ‘여중군자 장계향 아카데미’ 등의 교육은 (사)장계향선양회의설립을 이끌어 내 민간에서 여성인물 선양사업을 자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

 

2013년 안동에서 처음 열린 ‘경북여성인물 재조명 심포지움’은 독립가, 여성리더십, 육영사업가, 문학가 등 분야별 지역대표 여성들의 생애와 발자취를 재조명하는 학술 토론의 장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영천교육문화센터에서 항일여성문학가 ‘백신애의 삶’을 조명하는 심포지엄을 열었고, 지역여성 인물들의 흔적을 찾아가는 ‘경북 여행(女行)길 탐방’프로그램을 총 5회 운영했으며, 12월에는 네 번째 ‘경북여성 구술생애사’와 두 번째 ‘경북여성 1호’ 조명 결과물을 발간했다.

 

올해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북 여성정체성의 상징인 ‘뜻을 세우고, 멋을 살리며, 맛을 나눈’ 지역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집약해 일반인들이 쉽게 경북여성들의 이야기를 접근할 수 있는 ‘경북여성 아카이브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등 지역여성인물 문화콘텐츠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경북여성 정체성

경북의 여성인물

① 올곧은 삶을 사는

‘뜻’

선덕여왕(경주, 리더십), 장계향(안동, 여중군자), 권성(지조),

남자현, 김락, 김우락, 허은, 박순부, 이해동, 김봉식, 이희경, 전월순,

임봉선, 강경옥(독립운동), 곽영화(새마을운동)

② 격에 맞게 사는

‘멋’

조애영․이휘(영천․영양, 작가), 백신애(영천, 문학), 박녹주(구미, 명창),

박귀희(칠곡, 국악), 이영도(청도, 근대문학), 김미희(안동, 다도)

이웃과 함께 나누는

‘맛’

장계향(음식디미방), 김설보(포항, 여인의 숲), 최송설당(김천, 교육)

국체보상부인회(경주), 여성새마을운동(어울림․나눔),

 

한편, 경북도가 이처럼 우리 지역 여성들의 역사를 조명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지역’과 ‘여성’이라는 이중적 소외 속에서 그동안 경북여성의 역사에 대한 관심과 조명이 부족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체계적인 법‧제도 실행에 앞서 양성평등 의식과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여성사 연구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이원경 경상북도 여성가족정책관은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법‧제도의 도입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인 의식과 문화를 변화시켜 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올해는 경북여성정책을 위한 행정부서가 만들어진 지 70주년이 되는뜻 깊은 해로, 그 동안의 성과를 축적한 경북여성 선양사업을 문화콘텐츠화 하는 ‘경북여성 아카이브 구축 사업’을 확대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진.자료제공/여성가족정책관>

※ 경북여성정책의 출발은 1947년 10월 27일 경북도 문교사회국 후생과내에 부녀계가 처음으로 설치되면서 시작.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