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흐림속초 25.6℃
  • 흐림철원 25.7℃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대관령 25.2℃
  • 흐림춘천 26.4℃
  • 박무백령도 20.4℃
  • 흐림북강릉 28.0℃
  • 흐림강릉 29.4℃
  • 흐림동해 24.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많음원주 26.8℃
  • 구름많음울릉도 25.1℃
  • 구름조금수원 28.8℃
  • 구름많음영월 27.8℃
  • 구름많음충주 28.5℃
  • 구름조금서산 29.3℃
  • 구름많음울진 25.0℃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구름많음추풍령 29.7℃
  • 구름조금안동 30.9℃
  • 구름많음상주 31.0℃
  • 구름조금포항 30.4℃
  • 구름조금군산 30.6℃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구름조금창원 31.2℃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통영 26.1℃
  • 구름많음목포 30.4℃
  • 구름많음여수 27.5℃
  • 박무흑산도 23.0℃
  • 구름조금완도 29.4℃
  • 구름조금고창 32.1℃
  • 구름조금순천 30.7℃
  • 맑음홍성(예) 30.0℃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고산 26.4℃
  • 구름많음성산 26.1℃
  • 흐림서귀포 27.7℃
  • 구름많음진주 30.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양평 26.5℃
  • 구름조금이천 28.5℃
  • 흐림인제 25.0℃
  • 구름많음홍천 26.5℃
  • 구름많음태백 28.5℃
  • 흐림정선군 27.3℃
  • 구름많음제천 27.0℃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보령 27.9℃
  • 구름조금부여 29.7℃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조금부안 30.9℃
  • 구름많음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2.5℃
  • 구름조금남원 31.1℃
  • 구름조금장수 30.5℃
  • 구름조금고창군 31.9℃
  • 구름조금영광군 32.0℃
  • 구름조금김해시 30.5℃
  • 구름조금순창군 32.6℃
  • 구름조금북창원 32.9℃
  • 구름많음양산시 30.6℃
  • 구름많음보성군 31.0℃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많음장흥 28.9℃
  • 구름많음해남 29.7℃
  • 구름조금고흥 30.4℃
  • 구름조금의령군 32.1℃
  • 구름많음함양군 33.4℃
  • 구름많음광양시 31.5℃
  • 구름조금진도군 28.1℃
  • 구름많음봉화 29.8℃
  • 구름많음영주 29.2℃
  • 구름많음문경 30.7℃
  • 구름조금청송군 32.4℃
  • 구름많음영덕 28.5℃
  • 구름조금의성 31.0℃
  • 구름많음구미 32.0℃
  • 구름조금영천 31.4℃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창 32.6℃
  • 구름많음합천 32.5℃
  • 구름조금밀양 34.5℃
  • 구름조금산청 32.3℃
  • 구름조금거제 28.1℃
  • 구름조금남해 30.4℃
기상청 제공

경북의 魂, 경북의 힘!

‘청송백자’ 2017 리빙디자인페어에서 만난다

서울코엑스에서 열리는 '제23회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 청송백자 참여
-2017년 3월 8일부터 12일 까지 5일간 열려

 

 

 

뉴스경북=김승진 기자

청송군/ '제23회 서울리빙디자인페어' 청송백자 참여

사진.자료제공/청송문화관광재단

 

 

‘우리집에 놀러와’ 2017 리빙디자인페어

청송백자

 


'느림의 미학'이 깃든 청송백자

 

청송백자는 16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5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조선후기 대표적인 생활도자기이다. 또한 해주백자, 회령자기, 양구백자와 함께 조선시대 4대 지방요(地方窯) 중의 하나이며, 경상도 지역에서는 문경사기와 양대 산맥을 이루며 활발하게 생산되었다.

 

청송지역의 가마터 지표조사 결과 늦어도 16세기부터는 백자 제작이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1423~1432년에 기록된 『世宗實錄 地理志』慶尙道 安東大都護府 靑松郡條에 청송군이 백토의 산지임을 기록하고 있어, 16세기 이전에 이미 백자가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청송지역에서 확인된 가마터는 총 48기이다. 가마터는 청송도석의 출토지인 법수광산을 중심으로 반경 10Km 이내에 위치하며, 백자 가마터의 운영 시기는 16~20세기로 폭넓은 편인데, 주로 17세기와 20세기에 운영된 가마터가 많다.

 

청송백자는 질 좋은 도석을 바탕으로 1920~1930년대에는 일본 각지로도 활발하게 판매되었으며, 특히 동경의 三越商店(현재의 미스코시백화점)으로도 수출될 정도로 명성을 크게 얻었다. 이후 1958년을 끝으로 중단되기도 했던 청송백자는 이제 마지막 사기대장 고만경 옹의 손에서 전통적인 제작 방식에 따라 다시 복원되어 과거의 영광을 다시 재현하고 있다.

 

장인의 혼과 느림의 미학이 깃든 청송백자는 대한민국 어느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청송군만의 소중한 향토문화유산이다.

 

'사기장의 열정과 혼'이 느껴지는 청송백자

 

청송백자는 흙을 사용하는 다른 지역의 백자와는 달리 ‘도석(陶石)’이라는 돌을 빻아서 빚는 독특한 제작방식으로 인해 유백색을 띠며, 그릇의 두께가 얇고 가벼운 특징이 있다. 장인의 혼을 담아 빚어진 청송백자는 절제된 선과 담박하고 고풍스러운 색으로 가장 한국적인 도자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오백년 역사의 숨결'이 살아 있는 청송백자 전수관

 

청송백자 복원사업으로 500년 역사의 숨결을 간직한 청송백자 전수관은 청송백자의 전통공방(사기움), 전통가마(사기굴), 주막 등을 옛 모습 그대로 재현 놓은 곳이다. 움집형의 원형구조로 이루어진 전통공방(사기움)은 원료의 분쇄에서 성형과 유약작업까지의 모든 공정이 사기움 안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청송지역만의 독특한 구조이다. 도석에 의해 특화된 형태의 전통가마와 가마에서 구워진 그릇을 서로 가져가기 위해 상인들이 며칠씩 묵으며 기다리던 주막은 번성하던 청송백자의 세월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사기움 건너 도석 광산의 채굴 흔적과 기계들은 옛 모습 그대로 있으며, 광산 사무실은 옛 모습대로 복원하여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소멸위기에 처해있던 청송백자 제작기술 등을 현존하는 청송백자 보유자인 고만경 옹을 중심으로 2007년부터 다시 재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청송군향토문화유산(무형유산)제1호로 지정된 고만경 옹은 청송사기의 제작기술 전승을 위해 사기 제작에서 가장 중요 한 기술을 가진 사기대장으로 오랜 고된 노력 끝에 자신만의 비법을 축적하여 가장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기능을 연마하여 원숙한 사기대장으로 청송백자 전수장에서 청송백자의 전승·보존과 전수자들에게 청송백자의 전통에 대한 가르침을 주며 그의 백자 인생의 마지 막 투혼을 불태우고 있다.

 

청송백자 심미적이고 단아한 매력 살려 다양한 수요층 공략

 

전통적 디자인을 기본으로 하여 현대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청송백자만의 스타일링 제안과 국내·외 시장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청송백자의 새로운 디자인을 2017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서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23회째를 맞는 2017서울리빙디자인페어의 올해 주제는 ‘우리집에 놀러와’에 맞는「청송백자」부스 디자인과 전문 스타일리스트 섭외를 통한 청송백자의 매력을 한껏 발휘 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준비하였다. 이번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서는 식기류, 반상기, 다도기 세트, 달항아리와 이번 행사를 위한 특별기획 상품을 구성하여 전시·판매할 예정이다.

 

또한 2017년도 청송문화관광재단은 청송백자의 국내외 홍보를 위해 헝가리 스프링페스티벌에서 열리는 ‘한국의 날’ 초청행사와 헝가리 한국문화원에서 열릴 한국의 맛과 멋을 알릴 전시에 청송백자가 초청되어 기획전시할 예정이며 이를 연계한 유럽지역 해외전시를 추진하고 있다.

 

미쉐린가이드 서울판’ 발간과 함께 한국의 전통식기의 재평가로 위상을 높여줄 것이라 기대하고 있는 가운데 ‘미슐랭 2스타’의 훌륭한 레스토랑으로 선정된 ‘한식당 권숙수’의 권우중 세프의 3월 오픈예정인 한식레스토랑과 청송백자 콜라보를 진행 중에 있다.

 

이는 지속적인 리빙디자인페어 참여를 통해 온·오프라인 홍보마케팅의 중요한 가도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외적으로 꾸준한 이벤트 및 SNS홍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연령층과 소통하며 잠재된 국내외 소비자를 발굴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7 리빙디자인페어

2017.03.08.(수) ~ 03.12(일), 5일간

개장시간 10:30 – 19:00 (18:00까지 입장 가능)

서울 삼성동 코엑스 A홀

(살롱드리빙아트관) L-010(부스)

주 최 : ㈜디자인하우스, 코엑스

주 관 : 월간<행복이가득한집).월간<럭셔리>

주 제 : 우리집에 놀러와 Play at Home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