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흐림속초 25.6℃
  • 흐림철원 25.7℃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대관령 25.2℃
  • 흐림춘천 26.4℃
  • 박무백령도 20.4℃
  • 흐림북강릉 28.0℃
  • 흐림강릉 29.4℃
  • 흐림동해 24.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많음원주 26.8℃
  • 구름많음울릉도 25.1℃
  • 구름조금수원 28.8℃
  • 구름많음영월 27.8℃
  • 구름많음충주 28.5℃
  • 구름조금서산 29.3℃
  • 구름많음울진 25.0℃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구름많음추풍령 29.7℃
  • 구름조금안동 30.9℃
  • 구름많음상주 31.0℃
  • 구름조금포항 30.4℃
  • 구름조금군산 30.6℃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구름조금창원 31.2℃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통영 26.1℃
  • 구름많음목포 30.4℃
  • 구름많음여수 27.5℃
  • 박무흑산도 23.0℃
  • 구름조금완도 29.4℃
  • 구름조금고창 32.1℃
  • 구름조금순천 30.7℃
  • 맑음홍성(예) 30.0℃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고산 26.4℃
  • 구름많음성산 26.1℃
  • 흐림서귀포 27.7℃
  • 구름많음진주 30.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양평 26.5℃
  • 구름조금이천 28.5℃
  • 흐림인제 25.0℃
  • 구름많음홍천 26.5℃
  • 구름많음태백 28.5℃
  • 흐림정선군 27.3℃
  • 구름많음제천 27.0℃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보령 27.9℃
  • 구름조금부여 29.7℃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조금부안 30.9℃
  • 구름많음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2.5℃
  • 구름조금남원 31.1℃
  • 구름조금장수 30.5℃
  • 구름조금고창군 31.9℃
  • 구름조금영광군 32.0℃
  • 구름조금김해시 30.5℃
  • 구름조금순창군 32.6℃
  • 구름조금북창원 32.9℃
  • 구름많음양산시 30.6℃
  • 구름많음보성군 31.0℃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많음장흥 28.9℃
  • 구름많음해남 29.7℃
  • 구름조금고흥 30.4℃
  • 구름조금의령군 32.1℃
  • 구름많음함양군 33.4℃
  • 구름많음광양시 31.5℃
  • 구름조금진도군 28.1℃
  • 구름많음봉화 29.8℃
  • 구름많음영주 29.2℃
  • 구름많음문경 30.7℃
  • 구름조금청송군 32.4℃
  • 구름많음영덕 28.5℃
  • 구름조금의성 31.0℃
  • 구름많음구미 32.0℃
  • 구름조금영천 31.4℃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창 32.6℃
  • 구름많음합천 32.5℃
  • 구름조금밀양 34.5℃
  • 구름조금산청 32.3℃
  • 구름조금거제 28.1℃
  • 구름조금남해 30.4℃
기상청 제공

경북의 魂, 경북의 힘!

영덕 유금사에서 통일신라시대 금동여래입상 출토

9세기경 제작된 국내 최대 크기의 금동여래입상 출토


[뉴스경북=김승진 기자] 영덕 유금사 3층 석탑(보물 제674)보수사업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 중 탑의 북쪽에서 유금사 초창기 금당지 발굴, 남서쪽 가장자리에서 9세기경의 금동여래입상 2구가 출토됐다.


영덕군은 재)삼한문화재연구원(원장 김구군)에 의뢰하여 병곡면 금곡리 838번지에 위치하는 유금사 3층 석탑 이전부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2017522일부터 622일까지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유금사 경내 북서쪽에 유존하고 있는 3층 석탑이 틈이 벌어지고. 한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이를 해체이전 복원하고자 시행했으며, 이에따라 이전지에 대한 매장문화재 시굴조사(20169)와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했다.

 

발굴조사 결과 현 석탑의 북쪽에서 정면 3, 측면 1칸 규모의 초창기 금당이 조사되었고, 남동쪽에서 금동여래입상 1구와 호신불금동여래입상 1, 통일신라시대 기와편이 전면에 깔려 출토됐다.


조사결과로 볼 때 유금사는 3단으로 축대를 쌓고, 위에서부터 차례로 강당, 금당, 탑을 남-북축 선상에 31련식(三院一連式)으로 축조된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산지가람임이 확인됐다.

 

금당은 정면 3, 측면 1칸의 규모로 추정되는데 출입시설(계단)과 답도(딛는 도로)가 일부 확인되었다. 현재 확인된 적심으로 볼 때 대략적인 금당의 규모는 길이 1,210cm, 너비 610cm이다. 출입시설은 금당의 중간지점 앞쪽에 계단이 확인되고, 계단과 연결하여 할석을 깐 답도가 만들어져 있다.

 

한편, 시굴조사에서 현 삼성각 가장자리 바깥 아래쪽으로 축대일부가 확인되었는데, 금당지와 간격을 고려할 때 강당지의 기단석일부로 추정된다.

 

원 탑지는 금회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지만, 금당지의 중심축에서 볼 때 현 조사지 외역에 유존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3층 석탑은 원 탑지에서 약 5~6m가량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출토유물로는 금동여래불상 2구가 출토되었는데, 완전한 여래불상은 높이가 39.5cm이며, 거신광배는 탈락되고 없으나 전체적으로 잔존상태가 온전하다.

 

오른손은 가슴까지 올려 시무외인을, 왼손은 내려 여원인을 하고 있다. 통견법의는 안에 속옷을 묶은 매듭이 있고, 통견은 전체적으로 “U”자상으로 흘러내리는 아육왕식의 주름이 음각 새김선으로 새겨져있다. 그리고 뒷면에 탕구 등의 구멍이 몸 전체에 뚫려 있고, 호상과 “U”자상의 통견법의의 음각새김 등으로 볼 때 9세기 전반기에 제작된 불상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이즈음에 제작된 금동여래입상은 경주 안압지 출토 금동여래입상(24,.7cm), 홍천 물걸리사지 출토 금동여래입상(22.6cm), 의령 보리사 출토 금동여래입상(26cm) 등 수점에 불과하다. 본 금동여래입상은 9세기 전반 경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상 가운데 가장 큰 입상이다.

 

그리고 유물의 크기, 잔존상태, 미학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지금까지 알려진 여래입상 가운데 가장 우수한 예술작품으로 지정문화재로 가치가 인정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원 탑지를 찾고 강당과 금당지의 전체모습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경주외역에 건립된 8~9세기 산지가람의 전모를 밝힐 수 있는 주요한 유적이므로 현 조사범위 외역에 대한 정밀발굴조사가 필요하다.

 

향후 해체 보관중인 3층 석탑은 원 탑지를 확인한 후, 그 곳에 이전하고, 아울러 초창기 유금사의 사역확인을 통해 당시 절터를 복원하여, 고대 사원문화의 교육장 및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영덕군/영덕 유금사에서 통일신라시대 금동여래입상 출토

사진.자료제공/문화재담당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