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흐림속초 25.6℃
  • 흐림철원 25.7℃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대관령 25.2℃
  • 흐림춘천 26.4℃
  • 박무백령도 20.4℃
  • 흐림북강릉 28.0℃
  • 흐림강릉 29.4℃
  • 흐림동해 24.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많음원주 26.8℃
  • 구름많음울릉도 25.1℃
  • 구름조금수원 28.8℃
  • 구름많음영월 27.8℃
  • 구름많음충주 28.5℃
  • 구름조금서산 29.3℃
  • 구름많음울진 25.0℃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구름많음추풍령 29.7℃
  • 구름조금안동 30.9℃
  • 구름많음상주 31.0℃
  • 구름조금포항 30.4℃
  • 구름조금군산 30.6℃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구름조금창원 31.2℃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통영 26.1℃
  • 구름많음목포 30.4℃
  • 구름많음여수 27.5℃
  • 박무흑산도 23.0℃
  • 구름조금완도 29.4℃
  • 구름조금고창 32.1℃
  • 구름조금순천 30.7℃
  • 맑음홍성(예) 30.0℃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고산 26.4℃
  • 구름많음성산 26.1℃
  • 흐림서귀포 27.7℃
  • 구름많음진주 30.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양평 26.5℃
  • 구름조금이천 28.5℃
  • 흐림인제 25.0℃
  • 구름많음홍천 26.5℃
  • 구름많음태백 28.5℃
  • 흐림정선군 27.3℃
  • 구름많음제천 27.0℃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보령 27.9℃
  • 구름조금부여 29.7℃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조금부안 30.9℃
  • 구름많음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2.5℃
  • 구름조금남원 31.1℃
  • 구름조금장수 30.5℃
  • 구름조금고창군 31.9℃
  • 구름조금영광군 32.0℃
  • 구름조금김해시 30.5℃
  • 구름조금순창군 32.6℃
  • 구름조금북창원 32.9℃
  • 구름많음양산시 30.6℃
  • 구름많음보성군 31.0℃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많음장흥 28.9℃
  • 구름많음해남 29.7℃
  • 구름조금고흥 30.4℃
  • 구름조금의령군 32.1℃
  • 구름많음함양군 33.4℃
  • 구름많음광양시 31.5℃
  • 구름조금진도군 28.1℃
  • 구름많음봉화 29.8℃
  • 구름많음영주 29.2℃
  • 구름많음문경 30.7℃
  • 구름조금청송군 32.4℃
  • 구름많음영덕 28.5℃
  • 구름조금의성 31.0℃
  • 구름많음구미 32.0℃
  • 구름조금영천 31.4℃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창 32.6℃
  • 구름많음합천 32.5℃
  • 구름조금밀양 34.5℃
  • 구름조금산청 32.3℃
  • 구름조금거제 28.1℃
  • 구름조금남해 30.4℃
기상청 제공

경북의 魂, 경북의 힘!

경북도 문화재위원회, 道 문화재 지정(5건) 및 지정대상 선정(7건)

도내 문화유산의 지속적 발굴로 문화위상 제고


경상북도는 최근 문화재위원회(동산분과 제2차 회의)를 열어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을 비롯한 5건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4건)와 문화재자료(1건)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유형문화재로 지정 결정한 4건의 내역을 살펴보면,



▲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극락보전 수미단 위에 모셔진 3구의 불상으로 중앙에는 아미타여래좌상, 왼쪽에는 관세음보살좌상,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좌상이 협시(挾侍)하고 있다.

180∼190㎝에 달하는 중형의 불상으로서 조성발원문은 확인할 수 없지만, ‘북장사사적기(北長寺事蹟記)’를 통해 1676년(숙종 2)이라는 제작시기가 확인된다. 작품의 완성도가 높고 손상된 곳이 거의 없이 온전하게 남아 있어 17세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상주 북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명부전에 모셔진 24구의 목조상으로 중앙의 지장삼존을 비롯해 좌우에는 10구의 시왕상(十王像), 귀왕(鬼王 2구), 판관(判官 2구), 사자(使者 2구)의 순서로 배치돼 있다. 또한, 금강역사(2구)는 입구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3구의 동자상은 직지성보박물관에 따로 보관돼 있다.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1689년이라는 제작시기와 지현(智玄)을 비롯한 8명의 조각승이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작품의 완성도가 높고 24구에 달하는 상(像)이 손상된 곳이 거의 없이 온전하게 남아 있어 17세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은 응진전에 모셔진 석조 16나한과 제석천(帝釋天 2구), 사자(使者 2구), 동자(童子 1구) 등 20구의 불상으로 수조각승 수연(守衍)의 스승인 승호파(勝湖派) 양식에 기반한 조각 양식이 잘 드러나 있다.

이는 김룡사 대웅전 불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의해서도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응진전 불상의 조성시기는 1709년이며 조각승 수연 등에 의해 조성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한 제작연대와 조각가가 밝혀져 있고 18세기 초반 경상북도 지역의 불상 조각상황을 잘 보여주는 지표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있다.




▲ ‘청도 대비사 석조석가불좌상’은 대웅전에 모셔진 높이 125㎝, 무릎폭 75㎝의 불상으로, 조각승 승호(勝湖)가 제작한 불상으로 추정된다.

불상의 복장(腹藏)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이는 발원문 필사본이 전해지는데, 이에 의하면 조각승 승호 등 16명이 1683년에 조성해 호거산 대비사에 봉안했음을 알 수 있다.

17세기 후반 경상도 일대에서 가장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던 승호 일파에 의해 제작된 전형적인 불상으로서 제작자, 제작시기, 봉안처 등 불상제작과 봉안에 관련된 주요 정보들을 알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크다.


문화재자료로 지정 결정한,



▲ ‘문경 김룡사 석불입상’은 돌기둥 모양의 입상으로 입체감이 결여된 민불(民佛) 형태의 석불이다. 수인(手印), 옷주름 등 전신이 매우 낮고 투박한 부조(浮彫)로 조각됐고, 얼굴만 비교적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1725년에 출간된 ‘운봉사사적(雲峰寺事蹟)’에 의하면, 서쪽의 계곡 건너에 위치한 석탑과 함께 풍수사상에 입각해 1709년에 조성된 것으로 확인된다.

조선시대 대부분의 민불처럼 투박한 조형성을 특징으로 보이고 있지만, 1709년이라는 제작연대를 알 수 있고 김룡사의 풍수적 약점을 비보(裨補)하려는 목적 등이 사적기에 기록돼 있어 학술적인 가치가 인정된다.


이상과 같이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로 지정함으로써 경북의 문화재는 총 2,054점(국가지정 705, 도지정 1,349)이 된다.


한편, 경상북도는 문화재위원회에서 ‘포항 보경사 적광전 소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청도 장연사 소장 묘법연화경’, ‘청도 장연사 소장 정선동래선생박의구해’, ‘청도 도솔사 소장 묘법연화경’ 등 4건을 유형문화재 지정대상으로 선정했다.
 
또한, ‘상주 조정 문집판목’, ‘경산 반룡사 화문면석 부재’, ‘학발첩 및 전가보첩’등 3건을 문화재자료 지정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번에 지정대상으로 선정된 7건의 문화유산은 지정예고 절차를 거쳐 차기 문화재위원회에서 지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김종수 경상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전국 최고․최다의 문화재를 보유한 광역자치단체로서의 위상에 걸 맞는 최상의 보존․관리 시스템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문화유산의 발굴과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도지정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시킴으로써 예산절감과 동시에 지역 문화재의 위상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도지정문화재 지정내역 : 5(유형문화재 4, 문화재자료 1)

일련

번호

지정

종별

지정

번호

문화재명

수량

소유자

소재지

1

유 형

문화재

510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尙州 北長寺 極樂寶殿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3

북장사

상주시 내서면

북장1317

2

유 형

문화재

511

상주 북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尙州 北長寺 冥府殿

木造地藏菩薩三尊像 十王像 一括)

24

북장사

상주시 내서면

북장1317

3

유 형

문화재

512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

(聞慶 金龍寺 應眞殿 石造十六羅漢坐像 一括)

20

김룡사

문경시 산북면

김용길 372

4

유 형

문화재

513

청도 대비사 석조석가불좌상

(淸道 大悲寺 石造釋迦佛坐像)

1

대비사

청도군 금천면

박곡길 590

5

문화재

자 료

655

문경 김룡사 석불입상

(聞慶 金龍寺 石佛立像)

1

김룡사

문경시 산북면

김용길 372


도지정문화재 지정대상 선정내역 : 7(유형문화재 4, 문화재자료 3)

일련

번호

종 별

문 화 재 명

수량

소유자

소 재 지

1

유 형

문화재

포항 보경사 적광전 소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浦項 寶鏡寺 寂光殿 塑造毘盧遮那三尊佛坐像)

3

보경사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리 622

2

유 형

문화재

청도 장연사 소장 묘법연화경

(淸道 長淵寺 所藏 妙法蓮華經)

1

장연사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 19-1

3

유 형

문화재

청도 장연사 소장 정선동래선생박의구해

(淸道 長淵寺 所藏 精選東萊先生博議句解)

1

장연사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 19-1

4

유 형

문화재

청도 도솔사 소장 묘법연화경

(淸道 兜率寺 所藏 妙法蓮華經)

2

도솔사

청도군 이서면

하칠엽길 26-38

5

문화재

자 료

상주 조정 문집판목

(尙州 趙靖 文集板木)

114

풍양조씨

장천파

상주시 낙동면

양진당길 27-4

(한국국학진흥원 보관)

6

문화재

자 료

경산 반룡사 화문면석 부재

(慶山 盤龍寺 花紋面石 部材)

10

반룡사

경산시 용성면

용전리 118-2

7

문화재

자 료

학발첩 및 전가보첩

(鶴髮帖 傳家寶帖)

2

이 돈

영양군 석보면

원리리 323



경북도/경북도 문화재위원회, 道 문화재 지정(5건) 및 지정대상 선정(7건)

사진.자료제공/문화유산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