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2 (금)

  • 흐림속초 0.1℃
  • 흐림철원 0.9℃
  • 흐림동두천 1.0℃
  • 흐림대관령 -1.7℃
  • 흐림춘천 2.6℃
  • 구름많음백령도 5.4℃
  • 북강릉 1.0℃
  • 흐림강릉 1.3℃
  • 흐림동해 3.1℃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울릉도 4.3℃
  • 흐림수원 3.7℃
  • 흐림영월 3.9℃
  • 흐림충주 2.5℃
  • 흐림서산 3.5℃
  • 흐림울진 5.8℃
  • 청주 3.0℃
  • 대전 3.3℃
  • 흐림추풍령 2.7℃
  • 안동 4.5℃
  • 흐림상주 4.5℃
  • 포항 7.8℃
  • 흐림군산 4.7℃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통영 7.8℃
  • 목포 7.3℃
  • 여수 8.3℃
  • 구름많음흑산도 7.0℃
  • 흐림완도 9.1℃
  • 흐림고창 6.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고산 10.9℃
  • 흐림성산 10.0℃
  • 구름많음서귀포 13.4℃
  • 흐림진주 7.4℃
  • 흐림강화 2.2℃
  • 흐림양평 4.3℃
  • 흐림이천 3.7℃
  • 흐림인제 1.8℃
  • 흐림홍천 1.2℃
  • 흐림태백 -1.0℃
  • 흐림정선군 1.2℃
  • 흐림제천 2.9℃
  • 흐림보은 3.2℃
  • 흐림천안 2.7℃
  • 흐림보령 3.0℃
  • 흐림부여 3.0℃
  • 흐림금산 4.4℃
  • 흐림부안 6.9℃
  • 흐림임실 6.7℃
  • 흐림정읍 6.7℃
  • 흐림남원 6.6℃
  • 흐림장수 4.9℃
  • 흐림고창군 6.5℃
  • 흐림영광군 7.0℃
  • 흐림김해시 7.1℃
  • 흐림순창군 7.5℃
  • 흐림북창원 8.1℃
  • 흐림양산시 7.4℃
  • 흐림보성군 8.4℃
  • 흐림강진군 8.7℃
  • 흐림장흥 8.6℃
  • 흐림해남 8.4℃
  • 흐림고흥 8.3℃
  • 흐림의령군 7.5℃
  • 흐림함양군 5.9℃
  • 흐림광양시 7.7℃
  • 흐림진도군 7.8℃
  • 흐림봉화 5.0℃
  • 흐림영주 4.5℃
  • 흐림문경 3.9℃
  • 흐림청송군 4.2℃
  • 흐림영덕 5.9℃
  • 흐림의성 5.6℃
  • 흐림구미 5.8℃
  • 흐림영천 6.6℃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창 4.2℃
  • 흐림합천 7.3℃
  • 흐림밀양 7.6℃
  • 흐림산청 5.9℃
  • 흐림거제 8.0℃
  • 흐림남해 8.3℃
기상청 제공

경북의 魂, 경북의 힘!

경북도, 한복에 대한 최초 인문학 사전 발간

‘한복인문학사전’발간, 한복에 인문학을 입혀 민족의 정체성을 담아
- 343개 표제어, 1,000여장 도판으로 집대성한 한복 문화 사전 결정판


[경북도/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경상북도는 금년 하반기 한복진흥원 개관을 앞두고 한복의 인문학적 이론정립과 한복문화산업의 허브 구축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한복 연구를 종합한 한복인문학사전을 발간했다.

 

이번 한복인문학사전발간은 한복을 인문학적으로 재해석한 성과로 한복을 통해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찾아볼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한복인문학사전은 한복의역사, 한복의 특징, 궁중한복, 우리민족의 한복과 생활을 담고 있다.

 

343개의 표제어는 문학(민담, 전설, 속담, 민요, , 고전시가), 역사, 미술작품, 의궤 및 고서, 민속(관혼상제, 연희) 등에서 한복과 관련된 문화요소를 선정해 가나다순으로 배열, 한복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도민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돼 있다.

 

박현주 한복기술진흥원 원장 등 한복학 전문가와 남경미 원광대 교수 등 분야별 인문학 전문가가 편찬위원과 집필진으로 함께해, 지난 해 4월부터 금년 2월까지 장장 10개월에 걸쳐 완성했다.

[ 편찬위원 및 집필진 ]

편찬위원 : 박현주(한복기술진흥원 원장),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최은수(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집필진

- 한복일반 : 남경미(원광대), 송미경(서울여대), 윤양노(중부대),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이은주(안동대), 정미숙(경기도박물관), 최은수(국립민속박물관), 허진(문학평론가)

- 문학 : 이숭원(서울여대), 차충환(경희대), 하응백(문학평론가)

- 역사·사건 : 고규홍(나무칼럼리스트), 이경식(역사저술가작가)

- 미술 : 백남주(미술평론가큐레이터)

 

경북도는 한복에 대한 최초 인문학 사전 발간을 통해 한복진흥의 기초서로 정보 제공 및 교육자료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한복이 새롭게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해 대한민국 한복산업진흥에 새로운 마중물 역할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만수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한복인문학사전은 한복을 직물, 제작, 디자인 등의 실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한복에 녹아 있는 우리 민족의 혼과 얼 등 정신문화적 면과 인문학적 면을 모두 살펴 총제적인 시각으로 한복을 바라볼 수 있게 설계했다,

이 책을 통해 한복에 대한 인문학적 인식이 더욱 확대되고 경북도가 대한민국 한복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수록용어(343개)

구 분

내 용

가사(袈裟), 가죽신, 가체(加髢), 갈모, 감물과 갈옷, 감신총 시녀도(龕神塚 侍女圖), 갑사댕기, 갑옷, 강사포(絳紗袍), 강세황 초상(姜世晃 肖像), 개두(蓋頭), 개량복, 개량한복, 생활한복, 개짐, 계변가화(溪邊佳話), 고구려 벽화, 고무신, 고의(袴衣), 속곳[단속곳, 속속곳], 너른바지, 고종 어진 강사포본(高宗 御眞 絳紗袍本), 고종 어진 황룡포본(高宗 御眞 黃龍袍本), 고풍(古風), 고풍의상(古風衣裳), 곤룡포(袞龍袍), 곳갈(, ), 공복(公服), 공정책(空頂幘), 과실무늬[果實紋],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 광장(廣場), 교복 자율화, 국회의원, 군복(軍服)[구군복(具軍服)], 궁녀 복식(宮女 服飾), 권기수 초상(權沂洙 肖像), 권희로의 한복 귀고리, 귀촉도(歸蜀道) - 정주(廷柱)에 주는 시, 그네, 그림감상, 기녀복(妓女服), 기생(妓生), 기영회도(耆英會圖), 긴아리, 길상어문(吉祥語文), 길쌈, 길짐승무늬[走獸紋], 김관식(金冠植)의 입관(入棺), 김옥균과 홍종우의 한복, 꽃무늬[花紋]

나도 가야합니다, 나막신, 나인, 낙복지·낙폭지(落幅紙), 난모(煖帽, 暖帽), 날짐승무늬[飛禽紋], 낡은집, 남구만 초상(南九萬 肖像), 남루(襤褸, 낡아서 해진 옷), 남사당(男寺黨), 남장(男裝), 남행시초 3 : 고성가도((南行詩抄 三 : 固城街道), 납의(衲衣), 너울(羅兀), 노루, 노리개, 노상탁발(路上托鉢), 노상파안(路上破顔), 노인 복지와 의복, 누비옷,눈 오는 날에

다회(多繪), 단령(團領), 단발령(斷髮令), 단발령(斷髮令), 단삼(團衫), 단오로다 창포시절, 단오풍정(端午風情), 당의(唐衣), 당혜(唐鞋)와 운혜(雲鞋), (), 대마도의 의복, 대장간, 대창의-중치막-소창의(大昌衣-中赤莫-小氅衣), 대쾌도(大快圖), 댕기, 덕혜옹주, 덕흥리 벽화고분 유주자사 진(幽州刺史 眞)의 초상과 13인의 태수(太守), 덕흥리 벽화고분 행렬도(德興里 壁畵古墳 行列圖), 덧신, 도굴(盜掘), 도둑질, 도포(道袍), 동정, 동파관(東坡冠), 두루마기, 두루주머니, 두산손명주연구회

마고자, 말군(抹裙), 말징박기, 망건(網巾), 매화가(梅花歌), 맥고모자, 중절모(中折帽, fedora), 면류관(冕旒冠), 면복(冕服), 면제배갑(綿製背甲), 명성황후의 초상화, 모던걸[Modern girl], 모던보이[Modern boy], 모란 여정(餘情), 모시를 이리저리 삼아, 몽두리, 무고(舞鼓), 무동(舞童), 무복(巫服), 무용총 무용도(舞踊塚 舞踊圖), 무용총 수렵도(舞踊塚 狩獵圖), 무지기치마, 대슘치마, 물레타령, 미인도(美人圖), 민간 돌복, 민속극의 복식 문화, 민영환의 한복, 밀양아리랑

바느질(針線), 바지, 반지, 방립(方笠), 방물가(房物歌), 배냇저고리, 배뱅이굿, 배자(褙子), 버들은 실이 되고, 범벅타령, 베틀가, 벼 타작, 변복(變服), 변복령(變服令), 변복탈옥, 별감복(別監服), 병정타령(兵丁打令), 복두(幞頭), 사모(紗帽), 양관(梁冠), 봉황무늬[鳳凰紋], 불경한 시녀, 붉은 손, 비단옷, 비단타령, , 뽕나무

사방지(舍方知), 사치, 삯바느질, 삼실총 벽화(三室塚 壁畫), 상가수(上歌手)의 소리, 상복(常服), 상복(喪服), 상의원(尙衣院), 상주모심기 노래, 생활한복, 서직수 초상(徐直修 肖像), 선잠제(先蠶祭, 선조의 금색(禁色), 설문조사, 세자의 철없는 도박놀음, 세탁, 푸새, 다듬이질, 갈무리, 소매치기, 속적삼, 적삼, 한삼(汗衫), 속치마, 송시열 초상(宋時烈 肖像), ()의 비밀(秘密), 수대동 시(水帶洞 詩), 수산리 고분 벽화(水山里 古墳 壁畵),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수의(壽衣), 승무(僧舞), 시복(時服), 시조의 복식 문화, 신라의 복식제도, 신부(新婦), 신여성, 신임초상(申銋肖像), 신행(新行), 심득경 초상(沈得經 肖像), 쌍검대무(雙劍對舞), 쌍륙삼매(雙六三昧), 쌍영총 묘주부부(雙楹塚 墓主夫婦), 쌍영총 인물도 및 행렬도(雙楹塚 人物圖, 行列圖), 씨름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 아전(衙前), 안경과 안경집, 안동포(安東布), 안악 3호분, 대행렬도(安岳三號墳 大行列圖), 안악 3호분 묘주부인 초상(安岳三號墳 墓主夫人 肖像), 안악 3호분 묘주 초상(安岳三號墳 墓主 肖像), 안중근의 한복, 안향 초상(安珦 肖像), 암호 한복’, 액주름, 야금모행(夜禁冒行), 야연(野宴), 양복(洋服), 양장(洋裝), 여권 신장(女權伸張), 여성의 머리 모양, 여성의 머리 장신구, 역대 대통령 영부인의 한복 차림, 연산군·정조의 의복관, 연소답청(年少踏靑), 연잉군 초상(延礽君 肖像), 연행록(燕行錄연행가(燕行歌), 열녀와 의복, 염색(染色), 염습(殮襲), 영남들노래, 영묘조구궐진작도(英廟朝舊闕進爵圖), 영조 어진(英祖 御眞), 영화제와 한복, 예송논쟁(禮訟論爭), 오례의(五禮儀), 오리망아지토끼, 오복(五服)과 상피법(相避法), 옷고름 사건, 옷 찢기, 왕실 돌복, 외국 사신을 맞는 임금의 옷, 외국인 한복 체험, 요정(料亭), 용무늬[龍紋], 우물가, 원삼(圓衫), 원유관(遠遊冠), 월야밀회(月夜密會), 유건(儒巾), 민자건(民字巾), 유구국의 의복, 융복(戎服), 의복 금제조건 5개항, 의복의 금지색(조선시대), 이광사 초상(李匡師 肖像), 이방자 여사의 한복, 이색 초상(李穡 肖像), 이옥(李鈺)이언(俚諺)에 나타난 복식, 이원기로회도(梨園耆老會圖)

이제현 초상(李齊賢 肖像), 이조년 초상(李兆年 肖像), 이채 초상(李采 肖像), 이토 히로부미의 한복, 이하응 금관조복본 초상(李昰應 金冠朝服本 肖像), 익선관(翼善冠), 익선동의 마지막 한복집, 일본인과 한복

자리 짜기, 자연문(自然紋), 자연염색(自然染色), 자진방물가, 작별(作別), 잔치, 잠녀 옷(해녀 옷), 잠령탑(蠶靈塔), 장녹수의 옷, 장삼(長衫), 장옷[長衣], 쓰개치마, 장터길, 저고리, 저항과 다양성 사이, 적의(翟衣), 전립(氈笠), 절망(絕望), 제복(祭服), 조반 부인 초상(趙伴 夫人 肖像), 조복(朝服), 조선시대 의복의 유행 변화, 조선의 마지막 궁녀, 조선호텔, 조씨 삼형제 초상(趙氏 三兄弟 肖像), 조오련의 한복, 족두리(簇頭里), 종이옷·지의(紙衣), 주머니, 주사거배(酒肆擧盃), 주유청강(舟遊淸江), 진도아리랑

창덕궁 시녀 의복 절도사건, 채애도(採艾圖), 처네를 쓴 여인, 철릭[帖裏], 철종 어진(哲宗 御眞), 초립(草笠), 총각타령, 최익현 초상(崔益鉉 肖像), 최치원 초상(崔致遠 肖像), 춘설(春雪), 취중송사(醉中訟事), 치마, 치마끈, 칠월백중(七月百中), 침모(針母)

탈춤복식, 탕건(宕巾), 태사혜(太史鞋), 태조 어진(太祖 御眞), 토수(吐手), 투전(鬪牋)

판소리 작품의 복식 문화, 패션쇼, 편복관(便服冠), 평생도(平生圖) 중 돌잔치, 평생도 중 삼일유가(平生圖 三日遊街), 평생도 중 소과응시(平生圖 小科應試), 평양감사향연도 중 부벽루연회도(平安監司饗宴圖 浮碧樓宴會圖), 평양감사향연도 중 연광정연회도(平安監司饗宴圖 練光亭宴會圖), 평양감사향연도 중 월야선유도(平安監司饗宴圖 月夜船遊圖), 평창올림픽, 풍기 인견, 풍속화병 중 사당연희(風俗畫屛 舍堂演戱), 퓨전한복

학창의(鶴氅衣), 한복(韓服), 한복 대중화, 한복의 날, 한복집의 사연·사건, 한복카페, 한복 크로스드레싱, 한양가의 복식 문화, 할아버지, 함창 허씨비단직물(咸昌 許氏緋緞織物), 핫바지/핫옷, 혼례복(婚禮服), 화관(花冠), 화담대사상(華潭大師像), 화성능행도병풍(華城陵幸圖屛風), 화장품(化粧品), 박가분(朴家粉), 동동구리무, 활쏘기, 활옷, 황태자 가례도감의궤 반차도(皇太子 嘉禮都監儀軌 班次圖), 회혼례도첩(回婚禮圖貼), 효자와 의복, 효종의 북벌정책과 의복관, 후원유연(後苑遊宴), 흑립(笠子), 흑피화(黑皮靴), 희경루방회도(喜慶樓榜會圖)





사진.자료제공/문화산업과

NEWSGB PRESS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