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속초 17.2℃
  • 맑음철원 14.1℃
  • 맑음동두천 16.1℃
  • 맑음대관령 10.1℃
  • 맑음춘천 15.4℃
  • 맑음백령도 11.6℃
  • 맑음북강릉 17.3℃
  • 맑음강릉 18.0℃
  • 맑음동해 16.0℃
  • 맑음서울 15.5℃
  • 맑음인천 15.0℃
  • 맑음원주 15.3℃
  • 맑음울릉도 14.5℃
  • 맑음수원 15.8℃
  • 맑음영월 14.6℃
  • 맑음충주 15.7℃
  • 맑음서산 15.7℃
  • 맑음울진 14.7℃
  • 맑음청주 16.4℃
  • 맑음대전 17.0℃
  • 맑음추풍령 14.6℃
  • 맑음안동 16.4℃
  • 맑음상주 17.5℃
  • 구름조금포항 17.3℃
  • 맑음군산 16.0℃
  • 구름조금대구 16.3℃
  • 맑음전주 16.6℃
  • 구름많음울산 16.8℃
  • 구름많음창원 16.1℃
  • 구름많음광주 17.2℃
  • 흐림부산 17.2℃
  • 구름많음통영 15.8℃
  • 구름조금목포 15.3℃
  • 구름많음여수 15.1℃
  • 구름조금흑산도 14.3℃
  • 구름많음완도 16.6℃
  • 맑음고창 16.2℃
  • 구름많음순천 14.6℃
  • 맑음홍성(예) 16.7℃
  • 흐림제주 15.5℃
  • 흐림고산 14.1℃
  • 흐림성산 15.5℃
  • 흐림서귀포 18.6℃
  • 구름많음진주 16.1℃
  • 맑음강화 15.1℃
  • 맑음양평 16.1℃
  • 맑음이천 17.1℃
  • 맑음인제 14.8℃
  • 맑음홍천 15.1℃
  • 맑음태백 12.7℃
  • 맑음정선군 14.1℃
  • 맑음제천 13.7℃
  • 맑음보은 14.9℃
  • 맑음천안 15.8℃
  • 맑음보령 17.6℃
  • 맑음부여 17.5℃
  • 맑음금산 15.7℃
  • 맑음부안 16.3℃
  • 맑음임실 16.2℃
  • 맑음정읍 16.1℃
  • 구름많음남원 15.9℃
  • 구름조금장수 14.0℃
  • 맑음고창군 16.0℃
  • 맑음영광군 16.6℃
  • 구름많음김해시 16.8℃
  • 구름조금순창군 15.6℃
  • 구름많음북창원 16.5℃
  • 구름많음양산시 17.7℃
  • 구름많음보성군 16.7℃
  • 구름많음강진군 16.1℃
  • 구름많음장흥 17.0℃
  • 구름많음해남 15.5℃
  • 구름많음고흥 16.6℃
  • 구름많음의령군 17.5℃
  • 구름많음함양군 16.6℃
  • 구름많음광양시 16.3℃
  • 구름많음진도군 15.2℃
  • 맑음봉화 14.9℃
  • 맑음영주 14.6℃
  • 맑음문경 15.3℃
  • 맑음청송군 15.6℃
  • 맑음영덕 17.8℃
  • 맑음의성 16.8℃
  • 맑음구미 17.9℃
  • 구름조금영천 17.4℃
  • 구름조금경주시 17.0℃
  • 구름조금거창 17.0℃
  • 구름조금합천 17.0℃
  • 구름많음밀양 18.1℃
  • 구름많음산청 17.0℃
  • 흐림거제 15.7℃
  • 구름많음남해 15.4℃
기상청 제공

안동문화예술의전당 특별 기획전 “이주와 정주의 삶”,,, 정성태 사진전 개최

3.1 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이주와 정주의 삶-우크라이나의 고려사람과 사모셜르 그리고 버려진 공간들’ 사진전,,, 한국의 정성태 작가와 우크라이나의 듀오(부부) ‘크롤리코브스키 아트’ 작가의 사진 40여 점과 오브제 등 전시
4월 16(화)일부터 5월 17일(금)까지 안동문화예술의전당 상설갤러리에서

 



[안동시/뉴스경북=김승진 기자] 안동문화예술의전당은 3.1 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이주와 정주의 삶-우크라이나의 고려사람과 사모셜르 그리고 버려진 공간들’ 사진전을 특별 기획전으로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4월 16(화)일부터 5월 17일(금)까지 안동문화예술의전당 상설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2019 KF-지방자치단체·관계기관 협력 전시 사업에 선정돼 공공외교 전문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KF)과 공동 주최한다. 한국의 정성태 작가와 우크라이나의 듀오(부부) ‘크롤리코브스키 아트’ 작가의 사진 40여 점과 오브제 등을 전시한다. 관객들은 작품을 통해 이주와 정주, 타향과 고향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다.


  ‘이주’와 ‘정주’라는 키워드로 삶의 흔적과 공간을 관찰하고 기록해 온 사진 작품을 선보인다. 고려인들의 빛바랜 흑백사진과 소품도 만나볼 수 있다. 세월의 흐름이 느껴지는 살림 도구와 테이블 위나 벽면의 오래된 사진, 고향이 그리워 붙여 놓은 한국의 춤사위 이미지 등으로 구성돼 있다. 고향을 떠나 우크라이나에 거주하게 된 고려 사람(꼬레이스키)들의 운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정성태 작가는 “우크라이나의 외딴곳에 있는 그들의 집을 찾아갔을 때, 비로소 그들의 삶을 피부로 느꼈고, 그들의 얼굴을 읽을 수 있게 됐다. 민족이라는 ‘같은 피’의 뜨거움을 느꼈다.”고 말했다.
  정성태 작가는 고향을 떠나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고려사람(꼬레이스키)과 고향으로 돌아온 체르노빌 재정착민(사모셜르)의 삶을 향한 애착과 그들의 공간을 담아냈다. 크롤리코브스키 아트 작가의 작품은 전쟁으로 쇠퇴해가는 고향에 대한 기억을 투영, 주민들의 고단한 이주와 정주의 운명을 보여주고 있다.


  안동문화예술의전당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우크라이나로 강제로 이주당한 고려인들이 낯선 타향에서 일군 디아스포라의 삶을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전화(☎054-840-3600)로 문의하거나,

안동문화예술의전당 홈페이지(http://art.andong.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자료제공/공연기획팀

NEWSGB PRESS













배너